2024/11/26 8

김화순 (2019)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김화순 (2019).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이화젠더법학, 11(3), 67 - 106.Wha-Soon Kim (2019).  Awareness and Task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of the Divided Regime,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11(3), 67 - 106.박근혜 정권 집권 이후 탈북인 수는 2011년 2,706명에서 2014년 1,296명으 로 절반 이하로 급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탈북자를 선거나 정권위기 상 황에서 김정은 체제의 불안정성을 증명하는 증거로 적극 활용하려고 시도하였 다. 2016년 4월 총선직전 북한음식점 종업원 집단탈북 사건이..

임인숙, 윤인진 (2008)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임인숙 and 윤인진. (2008).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가족과 문화, 20(3), 99-126.Lim, In-Sook and Yoon, In-Jin (2008) The Change and Continuity in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Power Relation among North Korean Migrants, Family and Culture, 20(3), 99-126. 1. 들어가는 글이러한 북한의 현실은 민주주의 체제 아래서 상대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개선되어 온 남한 사회와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김혜영의 연구(2000)에 의하면, 북한 여 성들은 남한 여성들보다 희생과 순종을 여성의 미덕으로 삼는 전통적인 가치를 더 강 하..

강동완 (2019) 국내 입국 탈북여성의 경계짓기: ‘직행’과 ‘중국행’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강동완. (2019). 국내 입국 탈북여성의 경계짓기: ‘직행’과 ‘중국행’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2(1), 1-26.Kang Dong Wan (2019). Setting a boundary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22(1), 1-26.대표적으로 국내 입국 탈북민 가운데 70% 이상이 여성이다. 그들 사이 에서 북한을 탈북 하여 중국에 거주하지 않고 한국에 입국한 경우를 ‘직행(직통)’이 라 부른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 일정기간 거주하다 입국한 여성은 ‘중국행’이라 한 다. 탈북과정의 차이에 따라 탈북여성의 정체성이 서로 다르..

한인영, 강향숙, 백형의 (2013) 북한이탈여성들의 성적 외상 경험

한인영, 강향숙, 백형의. (2013). 북한이탈여성들의 성적 외상 경험. 사회과학연구, 29(3), 187-207.Han, In-young, Kang, Hyang-sook, and Baik, Hyung-ui. (2013). Sexual Trauma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9(3), 187-207. 이렇게 북한을 탈출하는 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북한에서는 여성들에게 식량을 구하는 책임이 있으며 인신매매조직이 탈북과정에깊이 개입(문 숙재등,2000:141)되어 있고, 시장활동 및 국외거주 중국인과의 사실혼 관계 등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의 국경이동이 좀더 수월(강차연,2005:63)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정신건강 예측요인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Younga Cho, Yeunhee Kim, and Shieun You (2009). Predictors of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over 7 yea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1), 329-348.우선, 우울감Depression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탈북 주민의 우울 수준을 연구한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결..

박성정, 오은진 (2012)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박성정 and 오은진. (2012).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31(4), 135-152.Sung-Jung Park*․Eun-Jin Oh. (2012)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policy need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4), 135-152. 북한이탈여성들은 탈북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어 정서적,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여성들의 탈북 사유는 보다 나은 삶의 기회(63.7%)를 찾고 경제적 어려움(59...

이기영, 백정원, 김민경 (2014)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 - 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기영, 백정원 and 김민경. (2014).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 - 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 민족연구, 60, 4-23.Lee Ki Young, Baik Jeong Won, and Kim Min Kyoung. (2014).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in Childcare and Work - Focusing on women with children born in 3rd country -. Minjok Yeonku, 60, 4-23. 1. 서론이들의 일·가정 양립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북한의 경제위기 이후 교육 상황이 열악해지면서 생계를 위해 교육을 포기하거나 제대로 받지 않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공간과 사회, 22(2), 114-158.Sung Kyung Kim. (2012). Experiencing North Korea-China Borderland and Routes of Mobility: ‘Border Crossing’ of North Korean border-crossers and the Expanding of Transnational Ethnic Spaces. Space and Environment. 22(2), 114-158. 1. 들어가며중국과 북한은 북·중 국경을 넘는 북한주민의 이동이 단순 경제적 목적으로 한 불법월경으로 이해하여 당사국간의 해결을 주장 한다면,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