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2

Isaacs (2011) Moral Responsibility in Collective Contexts (3) Ch. 2

Isaacs, Tracy (2011). Moral Responsibility in Collective Contex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 Collective Moral Responsibility In the previous chapter, I distinguished between two kinds of collectives capable of intentional action—organizations and goal-oriented collectives. I gave an account of their respective intentional structures as a means of giving substance to the claim that coll..

Analytic/Ethcis 2025.02.14

박찬국 (2019)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1)

박찬국 (2019).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 강독 」 . 그린비. 1장  존재물음의 필요성, 구조 및 우위§ 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분명하게 다시 제기해야 할 필요성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의 의미를 현상 자체에 입각하여 획득하였으나, 그 후 그 현상 자체는 망각된 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명제들만이 계승되었다. 이에 따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최고도의 긴장된 사유 속에서 비록 단편적이고 초보적일망정 현상 자체로부터 쟁취했던 것이 진부한 것이 되고 현상 자체에 기반을 두지 않은 빈말이 되고 말았다.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은 불필요할 뿐 아니라 그것을 제기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선입견이 형성① ‘존재는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공허한 개념이므로 정의될 수 없다’② ‘존재는 또한 정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