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History of Analytic 20

『논리-철학 논고』의 실증주의적 해석과 “형이상학의 극복”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1장 제2절 실증주의적 해석과 “형이상학의 극복” 『논고』의 실증주의적 해석은 분석철학사에 남긴 영향과 별개로 오늘날에는 이론적 설득력을 상실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카르납과 에이어는 모두 그들이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오해했다고 고백한다. 특히, 이들이 공통으로..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말할 수 없는 것의 형이상학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1절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말할 수 없는 것의 형이상학이제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개념이 (1) 심리주의의 견해와 (2) 러셀의 견해를 넘어 (3) 사변적 형이상학에 조응하는 지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는 물론 비트겐슈타인이 모든 종류의 사변적 형이상학과 그 방법론..

Freg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erms and Formulas

2024-2 Frege and Russell Midterm Exam#2) Explain why so many interpreters have held that Frege’s formal work breaches the distinction between term and wff. Find passage(s) in “On Sense and Reference” that suggest that Frege held that a declarative sentence names a truth-value. Explain how one can save Frege from this breach by interpreting his view as introducing characteristic functions for pro..

Landini (2012) Frege’s Notations What They Are and How They Mean (1) Introduction

Landini, Gregory (2012). Frege's Notations: What They Are and How They Mean. London and Basingstoke: Palgrave-Macmillan. [1-14]  ※ Author’s Note on the Use of Modern Logical NotationsThe book endeavors to explain Frege’s notations in terms of modern notations. It is therefore worth making a few comments on the modern notations used in the book that might not be familiar to readers. In addition t..

『논리-철학 논고』의 말할 수 있는 것

1 비트겐슈타인의 에서 중요한 것은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요성이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편으로, 논고의 가치론의 측면에서 말할 수 없는 것은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할 나위없이 중요하다(가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논고에서 규명하려 하는 중심 질문은 “말할 수 있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이며, 이런 의미에서 논고는 말할 수 없는 것, 즉 뜻을 결여한(sinnlos) 명제와 무의미한(unsinnig) 명제의 근본 성격을 규명하는 일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그 비중의 측면에서도 말할 수 없는 것이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논고 안에서 더 중요하게 다루어진다고 파악해볼 수 있다. 2 반면 말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이것에 대해 대개 더 구체적인..

Aspect-Blindness (Philosophy of Psychology §257)

2024-1 Wittgenstein Final Exam#2) Philosophy of Psychology §257 257. Es erhebt sich nun die Frage: Könnte es Menschen geben, denen die Fähigkeit, etwas als etwas zu sehen, abginge a und wie wäre das? Was für Folgen hätte es? —– Wäre dieser Defekt zu vergleichen mit Farbenblindheit, oder mit dem Fehlen des absoluten Gehörs? a Wir wollen ihn “Aspektblindheit” nennen a und uns nun überlegen, was da..

On the Tractarian Concept of 'nonsense (Unsinn)'

2024-1 Wittgenstein #2) Nonsense (Unsinn) (OR sometimes translate “Unsinn” as “senseless”) As mentioned above, nonsense can be defined as the result of failing to comply with the rules of logical syntax (3.325). Unlike a proposition with a sense, nonsense cannot depict (abbilden) any reality, nor can it represent (darstellen) the possibility of reality (2.06, 2.17, 2.201). Since “a proposition i..

Die »Philosophie des Als Ob« (Zettel 260-261)

Ludwig Wittgenstein, Zettel, in : Werkausgabe Bd. 8, S. 322. 260. 우리는 그저 가상적으로만 “모든 경험을 넘어설 수 있다.”; 그렇다, 이 단어조차 그저 가상적인 뜻을 지니는데, 그 까닭은 그것이 뜻이 있는 표현의 유비로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261. “마치~처럼의 철학”은 그저 이러한 현실과 비유 사이의 혼동에 근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