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2

근대 철학에서의 무한성 사유-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비판 : 게오르그 칸토어의 초한수 이론을 중심으로

2018-1 서양근세철학 근대 철학에서의 무한성 사유-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비판 : 게오르그 칸토어의 초한수 이론을 중심으로 【주제분류】 근대철학, 합리론, 집합론 【주요어】 무한성, 초한수, 칸토어, 데카르트 【요약문】 무한은 철학과 수학의 역사에서 오랜 시간동안 가장 난해하면서도 신비로운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고대에서부터 엘레아 학파의 제논이 제시했던 제논의 역설은 무한의 개념을 활용한 악명 높은 난제였으며, 근대 철학을 이끌었던 (흔히 합리론자로 분류되는) 세 명의 철학자,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역시 그들의 사유에 있어 무한을 핵심적인 개념으로 생각했다. 데카르트는 그의 신 존재 증명에 있어 무한의 개념을 결정적으로 활용하였고, 스피노자의 존재론에서도 무한은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

개는 희망할 수 있는가? -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 생각함의 선험적 틀에 관하여

2018-1 인공지능과 마음 개는 희망할 수 있는가? -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 생각함의 선험적 틀에 관하여 【주제분류】 심리철학, 언어철학, 비트겐슈타인 【주요어】 인공지능, 생각함, 의도함, 언어 【요약문】 기계(인공지능)와 인간은 더 이상 차이가 없는가? 오늘날 인공지능의 끝없는 발전을 보고 있으면 우리는 더 이상 인간과 기계가 차별화되는 영역은 없다고 말해야만 할 것 같다. 실제로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문학, 번역, 작곡, 바둑 등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계는 인간을 거의 따라잡았거나, 인간보다 우월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역할은 과학에게 있지만, 과학이 인공지능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할지라도 여전히 위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