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2

철학의 위기

새로운 해석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기존 해석에 대한 비판이라는 예비작업이 필요하다. 니체식으로 말하자면 “우리 문헌학자들”의 작업은 창조하는 자의 발자취를 따라갈 뿐이라는 점에서, 열등한 것으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니체 역시 철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소처럼 되새김질하는 문헌학을 거쳐야만 했다는 사실은 다음의 점을 시사한다. 즉, 학문에 있어 대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니, 하나는 소극적인 “~이 아님”의 규정이며 다른 하나는 적극적인 “~임”의 규정이다. 플라톤은 후자를 철학 탐구에 있어 가장 탁월한 방식인 정의(Definition)라 부르는데 소크라테스가 말했듯이 우리가 궁금한 것은 대상의 개별적인 사례들이 아니라 그 존재자들을 존재자로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그것이기 때문이다..

언어철학 정리

2015-2 언어철학 1. 소박한 의미론 (1) 정의 소박한 의미론은 “언어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간단하고 보편적인 대답을 제공한다. : ‘단어’의 의미는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이다. 이를테면 ‘리처드 파인만’이라는 이름은 그 이름이 지칭하고 있는 실제 사람을 지시하며, 그것이 바로 그 이름의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물리학자’의 의미는 개별 물리학자들의 집합과 같다. “리처드 파인만은 물리학자다.”가 참인 이유는 ‘리처드 파인만’이 지시하는 대상이 ‘물리학자’의 원소이기 때문이다. (2) 소박한 의미론의 난점 (a) 동일한 지시체를 지시하면서 의미가 달라보이는 두 표현 김대중 = 2001년 12월의 한국 대통령? 이것을 참으로 받아들인다면 2001년 12월의 한국대통령 = 2002년 ..

인식론 중간고사

2015-1 인식론 중간고사 3. 예2)가 (k2)에 대한 반례인지 여부를 설명하시오 문제 예 2) 철이는 자취방에서 라디오를 켜지 않은 상태로 혼자 중간고사 공부를 하고 있다. 현재 철이는 라디오가 꺼져 있음을 직접 확인하고 다음의 명제를 믿고 있다. (b) 지금 내 방에는 라디오가 꺼져 있다. 철이는 지금 sns를 사용할 기기나 컴퓨터 혹은 전화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찾아올 사람도 없다. 한편 그 시각에 kbs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2NE1의 라는 노래가 방송되고 있었다. 물론 철이는 라디오를 켜고 있지 않기에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다. (k2) S가 P를 안다는 것의 필요충분조건은 1)P가 참이고 2)S가 P를 믿으며 3) S가 P를 믿는 것에 인식적 정당성을 가지고 4)P에 대한 S의 믿음의 ..

낭만주의의 시작과 헤르더의 출항

2019 미학반 발제문 낭만주의의 시작과 헤르더의 출항 1장 낭만주의(Romantik)을 읽기 위한 예비 작업 1절 예술과 철학 사이의 공명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우리가 뤼디거 자프란스키(Rüdiger Safranski)의 《낭만주의 : 어떤 독일적 분쟁(Romantik : Eine deutsche Affäre)》을 읽기에 앞서 숙고해볼만한 문제는 이 책이 다루고자 하는 질풍노도Strum und Drang의 시기에 관한 사실Tatsache 너머에 있다. 그것은 “낭만주의 운동은 철학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우리가 어떤 사상가들의 특정한 면모를 드러내고자 할 때에는, 그 면모가 사상가의 사상Gedanken에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그 핵심을 담지하고 있는가를 먼저 고려..

플라톤 - 국가 9권

1) 제 9권의 논의 전개 제 8권은 참주 정체에 관한 언급으로 끝나고, 정작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에 관한 언급은 거의 하지 않았다. 그래서 제 9권은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에 관한 언급으로 시작되는데, 먼저 그런 사람이 어떻게 해서 탄생되며 그가 보이는 행태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시도한다. 이어 제 2권에서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가 '올바름'에 관한 소크라테스의 적극적인 옹호를 유도해 내기 위해서 행한 도전적 발언에 대한 결론적 응답을 얻게 된다. 1)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이야말로 가장 올바르지 못하며 가장 비참한 자이다. 2)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누리는 즐거움이 가장 참된 즐거움인지를 밝힘으로써, 어느 쪽이 가장 즐거운 삶을 살게 될 것인지를 보여 준다. 3) 즐거움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

플라톤 - 국가 7권

플라톤, 『국가』, 번역 박종현, 서광사, 2005 1) 제 7권의 논의 전개 제 6권에서 "태양의 비유"와 "선분의 비유"를 통해 시도된 "좋음의 이데아"와 앎의 대상들 및 앎의 단계들에 대한 도식적 설명 대신에, 7권에서는 "동굴의 비유"를 통한 보다 입체적 설명을 시도한다. 동굴 안은 가시적 현상의 세계를, 동굴 밖은 지성에 의해서 알 수 있는 실재의 세계를 각기 비유한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실재들을 인식하는 것인데, 이 길에 이르기 위해서는 예비교육의 단계가 필요하고, 따라서 이를 위한 교과가 제시된다. 이 예비 교육이 끝난 이후에 변증술에 대한 집중적인 단련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변증술적 논변의 오용과 관련된 위험성에 대한 언급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러한 단련을 거친 후에는 오랜 세월 동안의..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상학 개론 (3)

8절 후설의 시간의식Zeitbewußtsein을 다루기 위한 예비 작업 - 임마누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중심으로 후설은 명증성Evidenz을 ‘사고한 것이 주어진 사태나 대상과 일치함’으로 사용한다.[각주:1] 이러한 명증성은 다시 사태와 사고가 일치하는, 즉 지향한 대상이 충족되는 충전적adäquat 명증성과, 주어진 사태가 존재하는 것을 결코 의심할 수 없는 필증적apodiktisch 명증성으로 구분된다.[각주:2] 이 부분에서는 일종의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따르고 있는 셈이다. 아데쿠아티오(adequatio)라는 단어는 흔히 동화, 일치라는 뜻을 지니며, 전통적인 진리개념- 즉, “진리는 대상과 판단 사이의 ‘일치’에 있다.”에서 바로 그 ‘일치’에 해당한다. 이 단어의 유래는 아리스토텔레스로,..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상학 개론 (2)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상학 개론 2장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과 현상학(Phänomenologie)의 창설 4절 논리주의(Logizismus)와 심리학주의(Physchologismus)의 대립 앞서 설명했듯이 데카르트가 결행한 cogito의 확립은 근대의 존재론을 확실성을 기반으로 한 마주-세움(Gegen-stand)의 존재론으로 이끌었다. 이 확실성은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clara et distincta, 즉 명석하고 판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명석한 지각이란 “집중하고 있는 정신에 현존하며 드러난 지각”을 의미하며, 판명한 지각이란 "명석하기 때문에 모든 다른 지각과 잘 구별되어 단지 명석한 것만을 담고 있는 지각"을 의미한다. 이 최초의 인식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상학 개론 (1)

2019.04 사회철학반 발제문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상학 개론 1장 후설 이전의 근대 철학의 문제의식에 대하여 대강 서술함 1절 근대 철학 이전 존재론Ontology의 주요 개념들- 아리스토텔레스의 ‘ousia’ 개념에 대한 중세 철학의 수용 지성사에 있어 사유가 인식과 맺는 독특한 관계는 언제나, 하나의 단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철학사는 마치 자연수로부터 정수, 유리수, 실수로 나아가는 교과서와 같은 형태를 지니게 되었을 텐데, 이는 철학사 곳곳에서 나타나는 돌발적인 사건들- 즉, 차이를 지닌 사상들 사이의 전투와 대립, 예기치 못한 공명과 결합을 온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철학사를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구분하는 것이 그 자체로 ..

슐체, 마이몬, 베크의 칸트 이해와 라인홀트 비판

2019 독일 관념론 스터디 발제 슐체, 마이몬, 베크의 칸트 이해와 라인홀트 비판 목차 1. 서론 – 칸트 비판 철학의 수용사 : 라인홀트와 그 비판자들 2. 본론 가. 라인홀트와 칸트의 근본적 차이 - 체계적 명료함과 엄격한 주저함 나. 슐체 - 근대의 아이네시데무스 다. 마이몬의 회의주의와 인과론 라. 베크의 관점론 1. 칸트 비판 철학의 수용사 : 라인홀트와 그 비판자들 칸트(Immanuel Kant)의 비판 철학의 서두를 장식하는 『순수이성비판 Kritik der reinen Vernunft』은 그 저작이 철학사에 남긴 탁월한 업적과 달리, 1781년 출판된 후 몇 년 동안 무관심과 오해를 받았다. 대표적으로 1782년 1월 에 발표된 크리스티안 가르베(Christian Garve)의 논평은 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