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Proposals & Drafts

[연구계획서] 전기 비트겐슈타인, 윤리, 그리고 「윤리학에 관한 강의」

Soyo_Kim 2024. 10. 10. 09:02

건국대학교 철학과 4단계 BK21 사업팀 참여대학원생 연구계획서

 

전기 비트겐슈타인, 윤리, 그리고 「윤리학에 관한 강의」

 

목차
1. 들어가는 글
2.『일기』에 나타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
3.『일기』와 『논고』의 연속성 : 윤리의 초월성
4. 「윤리학에 관한 강의」의 해석 문제
5. 나가는 글

 

.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단편들 중 1929년에 행한 윤리학에 관한 강의(이하 강의)는 매우 독특한 위상을 차지한다. 한편으로, 이 강의는 그가 일생동안 행한 유일한 대중강의라는 점에서 그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텍스트일 뿐만 아니라, 논리-철학 논고(이하 논고)에서는 압축된 잠언들로 표현되고 있는 그의 윤리학을 이해하기 위한 몇 안되는 텍스트 중 하나이다. 비트겐슈타인이 논고의 목적을 윤리적인 것이라 밝혔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윤리학에 관한 그의 전기 사유를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거의 유일한 텍스트인 강의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는 학자들에게 있어서도 커다란 문제로 다가온다. 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 알려져 있다시피, 1929년은 비트겐슈타인이 논고의 견해를 포기하던 시기이자 전기 사유로부터 후기 사유로의 전환을 시도하던 시기이다. 이는 그가 동시기의 저술들에서 논고의 견해들을 수정하거나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렇다면, 1929년의 강의논고의 사유는 연속적인가? 다시 말해, 우리는 강의논고를 이해하기 위한 통로로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근거는 무엇인가?

둘째, 우리가 설령 강의논고사이의 연속성을 인정한다 할지라도, 윤리에 관한 이 시기의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에는 중대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윤리의 성격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정의는 전쟁일기(이하 일기)논고, 그리고 강의를 통틀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고, 따라서 일관성을 결여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컨대, 비트겐슈타인은 일기에서 윤리를 초재적(transzendent)’이라 주장하는 반면, 논고에서는 이를 초월적(transzendental)’으로 수정하고, 강의에서는 윤리가 초-자연적(supernatural)인 것이라 말한다. 그렇다면, 이를 일관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더 나아가, 비트겐슈타인은 윤리의 본질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셋째, 강의이후의 비트겐슈타인은 더 이상 윤리에 관한 어떤 견해도 표명하지 않는다. 요컨대, 윤리와 윤리학이라는 학문의 성격에 관해 깊은 관심을 기울였던 전기 비트겐슈타인은 후기 사유로의 전환 이후 윤리에 관한 일체의 단상을 남기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또한 논고강의시기의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이 연속적이지 않다면, 윤리에 관한 그의 견해는 세 가지 시기로 나누어지는가?

본고는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강의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을 분석하고, 그것이 논고시기의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과 맺고 있는 연속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본고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시기의 비트겐슈타인은 몇 가지 본질적인 측면에서 논고의 비트겐슈타인과 동일한 생각을 공유한다. 그것은 논리를 이해하기 위한 존재 그 자체에 대한 경험을 인정한다는 것, 윤리를 사실 판단의 영역(, 세계의) 밖에 있는 것으로 본다는 것, 윤리적 명제를 무의미한 명제로 간주하며 윤리적 명제의 사용을 언어의 한계로 달려가 부딪치는 것으로 본다는 것, 한계 지어진 전체로서의 세계에 대한 개념을 받아 들인다는 것 등이다. 무엇보다 논고강의가 공유하고 있는 것은 언어의 한계라는 개념이다. 둘째, 이로부터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그의 후기 사유에서 윤리에 관한 단상을 남기지 않는 까닭을 추론할 수 있다. , 우리는 후기 사유에 나타난 그의 사유의 본질적인 변화가 그의 윤리관 전체에 영향을 주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따라서 강의논고의 윤리관을 이해하기 위한 통로로 적법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윤리 개념은 언어의 한계 개념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 선행 연구 및 참고 문헌

Janik, Allan, Tulmin, Stephen, Wittgenstein’s Vienna. Chciago: Ivan R. Dee, 1997.

Diamond, Cora, “Ethics, Imagination and the Method of Wittgenstein’s Tractatus”, in: The New Wittgenstein, A. Crary and R. Read (ed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0.

Stokhof, Martin, World and Life as One: Ethics and Ontology in Wittgenstein’s Early Thought,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Schönbaumsfeld, Genia, A Confusion of the Spheres. Kierkegaard and Wittgenstein on Philosophy and Relig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Hacker, P. M. S., Insight and Illusion. Themes in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3rd Ed, London and New York: Anthem Press, 2021.

Wittgenstein, Ludwig, Briefwechsel: mit B. Russell, G.E. Moore, J.M. Keynes, F.P. Ramsey, W. Eccles, P. Engelmann und L. von Ficker. B. F. McGuiness und G. H. von Wright (Hrsg.).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80.

Wittgenstein, Ludwig, Wittgenstein in Cambridge: Letters and Documents, 19111951. 4th ed. B. McGuinness (Ed.). Oxford: Blackwell. 2008.

Wittgenstein, Ludwig,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n: Werkausgabe Bd. 1. 23. Aufl. J. Schulte (Hrsg.). Frankfurt am Main: Suhrkamp. 2019. (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옮김. 책세상. 2006.)

Wittgenstein, Ludwig, Tagebücher 1914-1916. in: Werkausgabe Bd. 1. 23. Aufl. J. Schulte (Hrsg.). Frankfurt am Main: Suhrkamp. 2019. (󰡔전쟁일기󰡕. 박술 옮김. 읻다.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