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physics and Epistemology/General Epistemology 11

Silva (2023) Awareness and the Substructure of Knowledge Ch. 1

Silva Jr, Paul (2023). Awareness and the Substructure of Knowled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 Towards an Awareness-First Epistemology1) The expression ‘aware of the fact that’ is a commonplace① criticize‘You were aware of the fact that it was wrong, but you did it anyway!’② excuse‘I’m sorry, I wasn’t aware of the fact that you would be hurt by my action.’③ admonish‘You should be aware ..

Fumerton’s “What the Internalist Should Say to the Tortoise.”

2024-1 Seminar Epistemology 1. Fumerton’s Inferential Internalism ① The distinction between inferential/non-inferential justification: in general, deduction, induction, and abduction (also known as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re enumerated as instances of inferential justification. Non-inferential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include a justification through sense perceptions, memo..

Fumerton (2015) What the Internalist Should Say to the Tortoise

Richard Fumerton, "What the Internalist Should Say to the Tortoise," Episteme, 12, 2 (2015) 209–217. 1. Introduction① Carroll’s (1895) short piece “What the Tortoise said to Achilles” in many ways anticipates issues that arise in a number of contemporary controversies. One might argue, for example, that initially plausible attempt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easy knowledge will land one in the ..

Cohen (2002) Basic Knowledge and the Problem of Easy Knowledge

Cohen (2002) Basic Knowledge and the Problem of Easy Knowledge  1. Basic Knowledge and the KR PrincipleP1 We acquire knowledge of the world through belief sources like sense perception, memory, and induction.P2 Such sources can not deliver knowledge unless we know the source is reliable.P3 But surely our knowledge that sense perception is reliable will be based on knowledge we have about the wor..

Cohen (1984) Justification and Truth

Stewart Cohen, “Justification and Truth.” Philosophical Studies: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Philosophy in the Analytic Tradition, vol. 46, no. 3, 1984, pp. 279–95. 1. Introduction Epistemologists generally agree that two components of knowledge are justification and truth. If S believes that P, then S knows that P only if S is justiefied in believing that P and it is true that P. A central iss..

게티어 문제의 새로운 해결 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수정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미발표 원고 (2021.05) 게티어 문제의 새로운 해결 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수정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주제분류】분석철학, 인식론 【주 요 어】게티어 문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 거짓 근거, 성향적 믿음 【요 약 문】 앎의 전통적인 분석이 지닌 결함을 지적했던 게티어의 영향력 있는 논문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존의 조건들을 수정하려 시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SANC)’을 포함한 어떠한 해결책도 결정적으로 유효한 것으로는 여겨지지 않는 실정이다. 최근, 김기현과 김도식은 ‘수정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RSANC)’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교착 상태를 타개하려 시도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앎으로 간주될 수 있..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이론들

2015-1 인식론 정리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이론들 1.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배경설명 K) 어떤 사람 S가 명제 P를 알기 위한 필요충분조건(IFF)는 1) P가 참이고 2) S가 P를 믿으며, 3) P에 대한 S의 믿음이 인식적으로 정당하다.(=S가 P를 믿는 것에 인식적 정당성을 지닌다.) 게티어 반례에 대한 해결시도가 계속해서 실패로 돌아가면서, 인식론자들은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여러 이론들이 등장함. 인식적 정당성: 어떤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 명제에 대한 한 사람의 믿음이 정당화 되는가? 우리가 갖고 있는 믿음 중에는 근거 있는 믿음도, 인식적으로 비합리적인 믿음도 ..

Sosa (1964) The Analysis of ‘Knowledge that P’

Sosa, Ernest, “The Analysis of ‘Knowledge that P’”, in : Analysis. vol. 25. 1964. pp. 1-8. 에드먼드 게티어의 해석에서, 앎의 개념에 관한 에이어와 치솜의 분석은 아래에 제시된 분석 A와 충분히 유사하며 같은 것이라 말할 수 있다.분석 A: S가 P에 대한 앎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IFF(i) P가 참이고,(ii) S가 P를 믿으며,(iii) P에 대한 S의 믿음은 정당화되었다. 게티어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두 가지 반례를 제시한다. 나는 이제 이러한 반례들 중 두번째 사례의 원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려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첫 번째 사례보다 단순하며 A에 대한 반례로서의 첫 번째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S가 P에 ..

Clark (1963)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Clark, M. (1963).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Analysis, 24(2), 46–48. https://doi.org/10.2307/3327068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Michael Clark;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Analysis, Volume 24, Issue 2, 1 December 1963, Pages 46–48, https://doi.org/10.1093/analacademic.oup.com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앎인가?"라는 그의 논문에서, 게티어 씨..

Meyers and Stern (1973) Knowledge Without Paradox

Robert Meyers and Kenneth Stern, “Knowledge Without Paradox”, in : The Journal of Philosophy. vol. 70(1973), pp.  147-160 게티어 유형의 반례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원칙에 근거한다 : 설령 p가 거짓이라 할지라도, 어떤 사람이 특정 명제 h를 증거 p를 토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만약 h가 참이라면, 그는 h라는 정당화된 참인 믿음을 갖게 될 것이며, 그러면서도 여전히 h를 알지는 못할텐데, 그 이유는, 말하자면, 그가 h를 받아들이는 것이 오직 우연적(accidental)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존스가 들판 위에 있는 여우를 개로 착각하였으며, 그러나 이 특정한 여우는 존스에게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