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c/Modal Logic

Translation into quantification theory (1)

Soyo_Kim 2024. 1. 4. 17:16

양상 연산자(Modal operator) L(□)과 M(◇)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그것들이 '모든(∀)'과 '어떤(∃)'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세계 w에서 성립하는) 명제 Lp는 w가 볼 수 있는 모든 세계에서 p가 성립함을 뜻한다는 점에서 '모든'의 개념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Mp는 w가 볼 수 있는 어떤(최소한 하나 이상의) 세계에서 p가 성립함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어떤'의 개념을 포함한다. 따라서 우리는 양상 연산자가 쓰인 모든 문장을 양화 이론(quantification theory)으로 번역할 수 있다.

 

(Lp)ʷ와 (Mp)ʷ

우선 Lp와 Mp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Lp)ʷ가 의미하는 바는 w가 볼 수 있는 모든 세계 α에서 p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명제 위의 첨자는 그 명제가 성립하는 세계를 지시한다)

위 첨자의 사용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애매성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아래의 네 가지 정의를 추가로 도입한다.

1. (p ⊃ q)ʷ =df pʷ ⊃ qʷ
2. (p  q)ʷ =df  pʷ  qʷ
 3. (p  q)ʷ =df  pʷ  qʷ
4. (~p)ʷ =df  ~(pʷ)

 

이제 L을 원초 기호(primitive symbol)로 정의하고, 이로부터 M을 정의한다고 가정해보자(물론 그 역도 가능하다). 먼저,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이 Lp를 정의한다.

(Lp)ʷ =df (∀α)(wRα ⊃ pᵃ)

 

그런데 Mp ≡ ~L~p이므로,

(Mp)ʷ ≡ ~(∀α)(wRα ⊃ ~pᵃ)

 

또한 ~(∀x)는 (∃x)~이므로,

(Mp)ʷ ≡ (∃α)~(wRα ⊃ ~pᵃ)

 

Def ⊃에 따라,

(Mp)ʷ ≡ (∃α)~(~wRα ∨ ~pᵃ)

 

드모르간의 법칙(DeM)으로 괄호를 풀면,

(Mp)ʷ ≡ (∃α)(~~wRα ∧ ~~p)

 

이중부정(DN)을 적용하면,

(Mp)ʷ ≡ (∃α)(wRα ∧ pᵃ)

 

따라서 (Mp)ʷ는 (∃α)(wRα ∧ Pᵃ)로 정의되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w가 볼 수 있는 어떤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세계가 있고 바로 이 세계에서 p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② Axiom K: L(p ⊃ q) ⊃ (Lp ⊃ Lq)

System K의 기본 공리 L(p ⊃ q) ⊃ (Lp ⊃ Lq)는 모든 frame에서 타당하다.

먼저 L(p ⊃ q) ⊃ (Lp ⊃ Lq)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L(p ⊃ q)와 Lp는 참이고 Lq는 거짓이다.

~Lq

L-M Interchange(LMI)에 따라, 

~~M~q

이중부정(DN)을 적용하면,

M~q

즉, L(p ⊃ q), Lp, 그리고 M~q는 모두 w에서 참이다.

w₁: L(p ⊃ q), Lp, M~q

w₂:  p ⊃ q, p , ~q ▶ p, q, ~q

요컨대 (q  ~q)ʷ²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따라서 우리는 특정한 frame을 가정하지 않고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K를 증명할 수 있다.

⊦ (∀α)(wRα ⊃ (p ⊃q)ᵃ) .⊃.  (∀α)(wRα ⊃ pᵃ) ⊃ (∀α)(wRα ⊃ qᵃ)

 

③ Axiom D: Lp ⊃ Mp

System D의 기본 공리 Lp ⊃ Mp는 serial frame에서 성립한다. 즉,

Serial (R) =df (∀w)(∃u)(wRu) 

이는 어떤 Model이든지 간에 w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세계를 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w가 볼 수 있는 세계가 (자기자신을 포함하여)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때, 그러한 세계를 dead end라고 부른다. dead end에서 Mp는 항상 거짓이다. 왜냐하면, (∃α)(wRα ∧ Pᵃ)에서 wRα와 Pᵃ의 연언은 (wRα가 거짓이므로) 항상 거짓이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dead end에서 Lp는 항상 참이다. 왜냐하면, 전건 wRα가 거짓이므로 wRα  Pᵃ 전체는 언제나 사소하게(trivially) 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dead end에서는 M(p ⊃ p)마저 거짓이며, L(p ∧ ~p) 마저 참이다.

이제 Lp ⊃ Mp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Lp ⊃ Mp)

Def ⊃에 따라,

~(~Lp ∨ Mp)

드모르간의 법칙(DeM)으로 괄호를 풀면,

~~Lp ∧ ~Mp

이중부정(DN)을 적용하면,

 Lp  ∧ ~Mp

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Dead end에서는 (Lp   ~Mp)가 참이므로 D가 거짓이어도 모순이 도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frame에서 D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serial frame 하에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w₁: Lp, ~Mp

w₂: p, ~p

요컨대 (p ∧ ~p)ʷ²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또한 당연하게도, reflexive, transitive, 그리고 symmetric frame은 모두 serial frame을 함축한다. 즉, Lp ⊃ Mp는 T, S4, B, S5의 정리이다.

⊦ (∀α)(wRα ⊃ pᵃ) ⊃ (∃α)(wRα ∧ pᵃ)

 

④ Axiom T: Lp ⊃ p

System T의 기본 공리 Lp ⊃ p는 reflexive frame에서 성립한다. 즉,

Refl (R) =df (∀w)(wRw)

이는 어떤 Model이든지 간에 w가 최소한 자기자신을 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왜 이러한 조건이 필요한가? 만약 w가 자기자신을 볼 수 없다면, (∀α)(wRα  Pᵃ)  ~(p)ʷ인 세계는 명백하게도 허용 가능하다. 그런데 (Lp ∧ ~p) ~(Lp ⊃ p)이므로, 이러한 세계에서는 T가 거짓이어도 모순이 도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frame에서 T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reflexive frame 하에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w: Lp, ~p, p

요컨대 (p ∧ ~p)ʷ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 (∀α)(wRα ⊃ pᵃ) ⊃  pʷ

 

⑤ Axiom S4: Lp ⊃ LLp

System S4의 기본 공리 Lp ⊃ LLp는 transitive frame에서 성립한다. 즉,

Trans (R) =df (∀w)(α)(β)(wRα ∧ αRβ .⊃. wRβ)

이는 어떤 Model이든지 간에 w가 α를 볼 수 있고, α가 β를 볼 수 있다면, w 또한 β를 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왜 이러한 조건이 필요한가? 우선 Lp ⊃ LLp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Lp는 참이고, LLp는 거짓이므로, Lp와 MM~p는 w에서 모두 참이다(~LLp ≡ MM~p). 여기에서 만약 w가 transitive frame이 아닐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w₁: Lp, MM~p

w
: p, M~p

w: ~p

이 경우 모순이 도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frame에서 S4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transitive frame 하에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w₁: Lp, MM~p               
↓                                                      ↘
w₂: p, M~p      
↓                                                      ↙
w₃: ~p, p

요컨대 (p ∧ ~p)ʷ³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 (∀α)(wRα ⊃ pᵃ) ⊃  (∀α)(wRα ⊃ (∀β)(αRβ ⊃ pᵝ))

 

Axiom B: p ⊃ LMp

System B의 기본 공리 p ⊃ LMp는 symmetric frame에서 성립한다. 즉,

Symm (R) =df (∀w)(∀α)(wRααRw)

이는 어떤 Model이든지 간에 w가 α를 볼 수 있다면 α 역시 w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왜 이러한 조건이 필요한가? p ⊃ LMp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p는 참이고, LMp는 거짓이므로, p와 ML~p는 w에서 모두 참이다(~LMp ML~p). 여기에서 만약 w가 symmetric frame이 아닐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w₁: p, ML~p

w: L~p

w: ~p

이 경우 모순이 도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frame에서 B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symmetric frame 하에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w₁: p, ML~p, ~p
↓    ↑
w₂: L~p

즉, 우리는 wL~p로부터 w에 ~p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 (p ∧ ~p)ʷ¹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 pʷ ⊃  (∀α)(wRα ⊃ (∃β)(αRβ ∧ pᵝ))

 

 Axiom S5: Mp ⊃ LMp

System S5의 기본 공리 Mp ⊃ LMp는 transitive & symmetric frame에서 성립한다.

Mp ⊃ LMp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전건 Mp는 참이고 후건 LMp는 거짓이다. 따라서 Mp와 ML~p는 w에서 모두 참이다(~LMp ≡ ML~p).  여기에서 만약 w가 transitive & symmetric frame이 아닐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w₁: Mp, ML~p
              ↓                            ↘
w₂:       L~p                                 w₃: p

             ↓
w₄:        ~p

이 경우 모순이 도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frame에서 S5는 타당하지 않다. 반면 transitive & symmetric frame 하에서 w는 symm(R)에 따라 w을 볼 수 있고, trans(R)에 따라 (wRwwRw .⊃. wRw₃ 이므로) w₃ 또한 볼 수 있다. 즉,

w₁: Mp, ML~p
              ↓                            ↘
w₂:       L~p                →             w₃: p, ~p

             ↓
w₄:        ~p

이 경우 (p ∧ ~p)ʷ³이므로 모순이 도출된다.

⊦ (∃β)(wRβ ∧ pᵝ) ⊃ (∀α)(wRα ⊃ (∃β)(αRβ ∧ pᵝ))

'Logic > Modal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Tableau Method (1)  (0) 2024.01.04
Translation into quantification theory (2)  (0) 2024.01.04
Chapter 3. The Brouwerian System  (0) 2024.01.04
Chapter 3. The System S5  (0) 2024.01.04
Chapter 3. The System S4  (0)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