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ental/Ancient 58

Kraut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3)

Kraut R.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In: The Blackwell Guide to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Edited by Richard Kraut. Oxford: Blackwell. 7. The Test of ExperienceIn fact, Aristotle claims that even after students of ethics have moved from the foundational premise of the subject back through all of the assumptions from which they began their inquiry, they mu..

Continental/Ancient 2025.01.21

Kraut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2)

Kraut R.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In: The Blackwell Guide to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Edited by Richard Kraut. Oxford: Blackwell. 4. Finding and Explaining Errors Aristotle says that our first priority should be to preserve all of the endoxa; that is, to find a way to show that apparently conflicting views are really in agreement, when their ambiguit..

Continental/Ancient 2025.01.21

Kraut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1)

Kraut R. (2006) How to Justify Ethical Propositions: Aristotle’s Method. In: The Blackwell Guide to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Edited by Richard Kraut. Oxford: Blackwell. 1. The Nature of Aristotelian JustificationAristotle and his audience seek not only first-order truths about practical matters, but also a second-order account of how first-order ethical propositions are to be justified. J..

Continental/Ancient 2025.01.21

플라톤 - 국가 9권

1) 제 9권의 논의 전개 제 8권은 참주 정체에 관한 언급으로 끝나고, 정작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에 관한 언급은 거의 하지 않았다. 그래서 제 9권은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에 관한 언급으로 시작되는데, 먼저 그런 사람이 어떻게 해서 탄생되며 그가 보이는 행태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시도한다. 이어 제 2권에서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가 '올바름'에 관한 소크라테스의 적극적인 옹호를 유도해 내기 위해서 행한 도전적 발언에 대한 결론적 응답을 얻게 된다. 1) 참주 정체를 닮은 사람이야말로 가장 올바르지 못하며 가장 비참한 자이다. 2)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누리는 즐거움이 가장 참된 즐거움인지를 밝힘으로써, 어느 쪽이 가장 즐거운 삶을 살게 될 것인지를 보여 준다. 3) 즐거움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

Continental/Ancient 2019.10.21

플라톤 - 국가 7권

플라톤, 『국가』, 번역 박종현, 서광사, 2005 1) 제 7권의 논의 전개 제 6권에서 "태양의 비유"와 "선분의 비유"를 통해 시도된 "좋음의 이데아"와 앎의 대상들 및 앎의 단계들에 대한 도식적 설명 대신에, 7권에서는 "동굴의 비유"를 통한 보다 입체적 설명을 시도한다. 동굴 안은 가시적 현상의 세계를, 동굴 밖은 지성에 의해서 알 수 있는 실재의 세계를 각기 비유한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실재들을 인식하는 것인데, 이 길에 이르기 위해서는 예비교육의 단계가 필요하고, 따라서 이를 위한 교과가 제시된다. 이 예비 교육이 끝난 이후에 변증술에 대한 집중적인 단련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변증술적 논변의 오용과 관련된 위험성에 대한 언급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러한 단련을 거친 후에는 오랜 세월 동안의..

Continental/Ancient 201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