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ental/Early Modern

데카르트 (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3) 제3성찰

Soyo_Kim 2025. 2. 8. 05:51

르네 데카르트 (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이현복 옮김. 문예출판사. 

René Descartes (1984).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translated by John Cottingham, Robert Stoothoff, Dugald Murdoch. Volume I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HIRD MEDITATION

The existence of God

 

I will now shut my eyes, stop my ears, and withdraw all my senses. I will eliminate from my thoughts all images of bodily things, or rather, since this is hardly possible, I will regard all such images as vacuous, false and worthless. I will converse with myself and scrutinize myself more deeply; and in this way I will attempt to achieve, little by little, a more intimate knowledge of myself. I am a thing that thinks: that is, a thing that doubts, affirms, denies, understands a few things, is ignorant of many things,' is willing, is unwilling, and also which imagines and has sensory perceptions; for as I have noted before, even though the objects of my sensory experience and imagination may have no existence outside me, nonetheless the modes of thinking which I refer to as cases of sensory perception and imagination, in so far as they are simply modes of thinking, do exist within me — of that I am certain.

나는 지금 눈을 감을 것이고, 귀를 막을 것이고, 모든 감각을 멀리할 것이며, 심지어 물체적 사물들의 상들을 모두 내 사유에서 지워 버릴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그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기에, 그 상들을 헛된 것 그리고 거짓된 것으로서 무로 여길 것이며, 나하고만 말하고 내 안을 보다 깊이 들여다보면서, 나 자신이 나에게 조금씩 더 알려지고 더 친숙해지도록 애쓸 것이다. 나는 사유하는 것이고, 그것은 의심하는, 긍정하는, 부정하는, 약간의 것을 이해하는, 많은 것을 모르는, 원하는, 원하지 않는, 또한 상상하는 그리고 감각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앞서 주목했듯이, 비록 내가 감각하는 것들 혹은 상상하는 것들이 어쩌면 내 외부에서는 무일지는 몰라도, 그렇지만 내가 감각 그리고 상상력으로 부르는 이 사유 양태들이, 단지 사유의 특정 양태들인 한에서, 내 안에 있다는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In this brief list I have gone through everything I truly know, or at least everything I have so far discovered that I know. Now I will cast around more carefully to see whether there may be other things within me which I have not yet noticed. I am certain that I am a thinking thing. Do I not therefore also know what is required for my being certain about anything? In this first item of knowledge there is simply a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of what I am asserting; this would not be enough to make me certain of the truth of the matter if it could ever turn out that something which I perceived with such clarity and distinctness was false. So I now seem to be able to lay it down as a general rule that whatever I perceive very clearly and distinctly is true.

그리고 나는 이 약간의 것들 안에서 내가 정말로 알고 있는 모든 것, 아니면 적어도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다고 알아차린 모든 것을 점검했다. 나는 이제 혹시라도 내가 아직 돌아보지 않은 다른 것들이 여전히 내 안에 있는지를 더욱 세심히 둘러볼 것이다.125 나는 내가 사유하는 것임을 확신한다. 그러면 나는 또한 내가 어떤 것을 확신하는 데 요구되는 것도 알고 있다는 것인가?126 실로, 이 최초의 인식 안에는 내가 긍정하는 것에 대한 명석판명한 지각 외에 아무것도 없다. 물론 이러한 지각이, 만일 내가 그렇게 명석판명하게 지각하는 어떤 것이 거짓인 일이 언제고 일어날 수 있다면, 나에게 사물의 진리를 확신시키기에 충분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제, 내가 매우 명석판명하게 지각하는 모든 것은 참이라는 것을 일반적인 규칙으로 정립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Yet I previously accepted as wholly certain and evident many things which I afterwards realized were doubtful. What were these? The earth, sky, stars, and everything else that I apprehended with the senses. But what was it about them that I perceived clearly? Just that the ideas, or thoughts, of such things appeared before my mind. Yet even now I am not denying that these ideas occur within me. But there was something else which I used to assert, and which through habitual belief I thought I perceived clearly, although I did not in fact do so. This was that there were things outside me which were the sources of my ideas and which resembled them in all respects. Here was my mistake; or at any rate, if my judgement was true, it was not thanks to the strength of my perception.

그렇기는 하지만, 내가 전에 전적으로 확실하고 명백한 것으로 받아들였지만, 나중에 의심스러운 것으로 알아챈 많은 것들이 있다. 그러면 그것은 어떠한 것들이었나? 그것은 땅, 하늘, 별 그리고 내가 감각으로 포착했던 다른 모든 것들이었다. 그런데 내가 그것들에 대해 명석하게 지각했던 것은 무엇이었나? 그것은 그러한 사물들의 관념들 자체, 즉 사유들 자체가 내 정신에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지금조차도 그 관념들이 내 안에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긍정했고, 심지어 내가 믿는 습관 때문에 명석하게 지각한다고 여겼지만, 실제로는 지각하지 않은 다른 어떤 것이 있었다. 그것은 그 관념들이 유래하고, 그 관념들과 전적으로 유사한 어떤 것이 내 외부에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서 나는 속고 있었거나, 아니면 적어도 만일 내 판단이 참이었다면, 그것은 내 지각의 힘 때문에 일어난 게 아니었다.

 

But what about when I was considering something very simple and straightforward in arithmetic or geometry, for example that two and three added together make five, and so on? Did I not see at least these things clearly enough to affirm their truth? Indeed, the only reason for my later judgement that they were open to doubt was that it occurred to me that perhaps some God could have given me a nature such that I was deceived even in matters which seemed most evident. And whenever my preconceived belief in the supreme power of God comes to mind, I cannot but admit that it would be easy for him, if he so desired, to bring it about that I go wrong even in those matters which I think I see utterly clearly with my mind's eye. Yet when I turn to the things them selves which I think I perceive very clearly, I am so convinced by them that I spontaneously declare: let whoever can do so deceive me, he will never bring it about that I am nothing, so long as I continue to think I am something; or make it true at some future time that I have never existed, since it is now true that I exist; or bring it about that two and three added together are more or less than five, or anything of this kind in which I see a manifest contradiction. And since I have no cause to think that there is a deceiving God, and I do not yet even know for sure whether there is a God at all, any reason for doubt which depends simply on this supposition is a very slight and, so to speak, metaphysical one. But in order to remove even this slight reason for doubt, as soon as the opportunity arises I must examine whether there is a God, and, if there is, whether he can be a deceiver. For if I do not know this, it seems that I can never be quite certain about anything else.

정말 뭐라고? 산술적인 또는 기하학적인 것들에서 매우 단순하고 쉬운 것, 예를 들어 둘과 셋을 더하면 다섯이라는 것, 혹은 이와 유사한 것들을 고찰하고 있었을 때, 내가 적어도 이것들이 참임을 긍정할 만큼 충분히 명료하게 직관하지 않았다고? 분명히, 나는 나중에 그것들에 대해 의심할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 그 이유는 다름 아니라 혹시 어떤 신이 극히 명백하게 보이는 것들에서조차 기만당하는 그러한 본성을 나에게 부여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 정신에 떠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의 전능성에 관해 사전에 형성된 이 의견이 나에게 떠오를 때마다, 정말로 신이 원한다면, 내가 정신의 눈으로 극히 명증하게 직관한다고 여기는 것들에서조차 오류를 범하게끔 하는 것은 신에게는 쉬운 일임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내가 매우 명석하게 지각한다고 여기는 것들 자체로 향할 때마다, 나는 그것들로부터 완전히 설득되어 이런 말들이 저절로 터져 나올 것이다. 누구든지 나를 속일 수 있으면 속여보라. 그렇지만 내가 나는 어떤 것이라고 사유하는 동안, 결코 내가 무이게끔 하지는 못할 것이다. 혹은 나는 존재한다는 것이 지금 참이므로, 내가 존재한 적이 없다는 것이 어느 날 참이게끔 하지는 못할 것이다. 혹은 아마 또한, 둘 더하기 셋이 다섯보다 더 많게끔 또는 더 적게끔 하지도 못할 것이다. 혹은 분명히 내가 명백한 모순을 인지하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리고 확실히, 나는 어떤 신이 기만자라고 여길 어떠한 기회도 갖지 못하므로, 또 어떤 신이 존재하는지 여부조차 아직 충분히 알지도 못하므로, 단지 이런 의견에 의존하는 의심의 근거는 매우 빈약하고, 말하자면 형이상학적이다. 그러나 또한 이 의심의 근거를 제거하기 위해 나는 기회가 나타나자마자 바로 신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기만자일 수 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을 모르는 한, 나는 내가 언젠가 다른 어떠한 것에 대해 전적으로 확신할 수 있을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First, however, considerations of order appear to dictate that I now classify my thoughts into definite kinds, and ask which of them can properly be said to be the bearers of truth and falsity. Some of my thoughts are as it were the images of things, and it is only in these cases that the term 'idea' is strictly appropriate — for example, when I think of a man, or a chimera, or the sky, or an angel, or God. Other thoughts have various additional forms: thus when I will, or am afraid, or affirm, or deny, there is always a particular thing which I take as the object of my thought, but my thought includes something more than the likeness of that thing. Some thoughts in this category are called volitions or emotions, while others are called judgements.

그런데 지금 순서는, 먼저 내 모든 사유들을 특정한 종류로 나누고, 그 가운데 어떤 것에 본래 참 또는 거짓이 있는지를 탐구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 사유들 가운데 어떤 것은 사물의 상과 같은 것이고, 관념이라는 이름은 본래 이것에만 어울린다. 이를테면, 내가 인간, 키메라, 하늘, 천사 혹은 신을 사유할 때다. 그러나 다른 것들은 이것 외에도 다른 어떤 형상들을 갖고 있다. 이를테면, 내가 원할 때, 두려워할 때, 긍정할 때, 부정할 때, 나는 항상 어떤 것을 내 사유의 주제로 포착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나는 또한 이 사물의 유사함 이상의 어떤 것을 사유를 통해 포괄한다. 그리고 이것들 가운데 어떤 것은 의지 혹은 정념으로, 그러나 다른 어떤 것은 판단으로 불린다.

 

Now as far as ideas are concerned, provided they are considered solely in themselves and I do not refer them to anything else, they cannot strictly speaking be false; for whether it is a goat or a chimera that I am imagining, it is just as true that I imagine the former as the latter. As for the will and the emotions, here too one need not worry about falsity; for even if the things which I may desire are wicked or even non-existent, that does not make it any less true that I desire them. Thus the only remaining thoughts where I must be on my guard against making a mistake are judgements. And the chief and most common mistake which is to be found here consists in my judging that the ideas which are in me resemble, or conform to, things located outside me. Of course, if I considered just the ideas themselves simply as modes of my thought, without referring them to anything else, they could scarcely give me any material for error.

이제 관념들에 대해 말하자면, 만일 그것들이, 내가 그것들을 다른 어떠한 것과 관련짓지 않고, 그 자체로만 고찰된다면, 그것들은 본래 거짓일 수 없다. 왜냐하면 내가 산양을 상상하든 키메라를 상상하든, 내가 그중 하나를 상상한다는 것은 다른 하나를 상상하는 것 못지않게 참이기 때문이다. 또한 의지 자체, 혹은 정념에서도 거짓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비록 내가 나쁜 것을 원할 수 있다고 해도, 심지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원할 수 있다고 해도, 그렇다고 해서 내가 그것들을 바란다는 것이 참이 아닌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남아 있는 것은 판단들뿐이며, 이것들에서 나는 속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그런데 판단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 주되고 가장 흔한 오류는 내 안에 있는 관념들이 내 외부에 위치한 어떤 것들과 유사하다고, 혹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에 있다. 왜냐하면 분명, 만일 내가 관념들을 다른 어떤 것들과 관련짓지 않고, 내 사유의 특정 양태들로서 관념들 그 자체만을 고찰한다면, 관념들은 나에게 오류를 저지를 어떤 질료도 거의 줄 수 없기 때문이다.

 

Among my ideas, some appear to be innate, some to be adventitious,  and others to have been invented by me. My understanding of what a thing is, what truth is, and what thought is, seems to derive simply from my own nature. But my hearing a noise, as I do now, or seeing the sun, or feeling the fire, comes from things which are located outside me, or so I have hitherto judged. Lastly, sirens, hippogriffs and the like are my own invention. But perhaps all my ideas may be thought of as adventitious, or they may all be innate, or all made up; for as yet I have not clearly perceived their true origin.

그런데 이 관념들 가운데 어떤 것은 본유적인 것, 어떤 것은 외래적인 것, 어떤 것은 나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사물이 무엇이고, 진리가 무엇이며, 사유가 무엇인지를 내가 이해한다는 것, 이것들을 다른 데서가 아니라 내 본성 자체로부터 가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내가 지금 소리를 듣고, 태양을 보며, 열을 느낀다는 것, 지금까지 나는 이것들을 내 외부에 위치한 어떤 것들에서 유래한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이렌, 히포그리프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은 나 자신에 의해서 꾸며진다. 어쩌면 나는 또한 그 모든 것이 외래적인 것이라고, 아니면 그 모든 것이 본유적인 것이라고, 아니면 그 모든 것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여길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나는 아직 그것들의 참된 기원을 명석하게 통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But the chief question at this point concerns the ideas which I take to be derived from things existing outside me: what is my reason for thinking that they resemble these things? Nature has apparently taught me to think this. But in addition I know by experience that these ideas do not depend on my will, and hence that they do not depend simply on me. Frequently I notice them even when I do not want to: now, for example, I feel the heat whether I want to or not, and this is why I think that this sensation or idea of heat comes to me from something other than myself, namely the heat of the fire by which I am sitting. And the most obvious judgement for me to make is that the thing in question transmits to me its own likeness rather than something else.

그러나 여기서는 주로 내가 내 외부에 현존하는 사물들에서 취해진 것으로 간주하는 관념들에 대해, 이 관념들이 저 사물들과 유사하다고 믿게끔 나를 움직이는 근거가 도대체 어떠한 것인지를 물어야 한다. 사실, 자연이 그렇게 가르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것 외에도 나는 그 관념들이 내 의지에도, 따라서 나 자신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한다. 왜냐하면 그 관념들은 자주 내 뜻에 반해서조차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컨대 지금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나는 열을 감각하고, 이 때문에 나는 그래서 감각 혹은 열의 관념은 나와 상이한 것, 즉 내 곁에 있는 불의 열로부터 나에게 도래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상이한 것이 다른 것보다 오히려 자신과 유사한 것을 내 안에 들여보낸다고 내가 판단하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I will now see if these arguments are strong enough. When I say 'Nature taught me to think this', all I mean is that a spontaneous impulse leads me to believe it, not that its truth has been revealed to me by some natural light. There is a big difference here. Whatever is revealed to me by the natural light — for example that from the fact that I am doubting it follows that I exist, and so on — cannot in any way be open to doubt. This is because there cannot be another faculty' both as trustworthy as the natural light and also capable of showing me that such things are not true. But as for my natural impulses, I have often judged in the past that they were pushing me in the wrong direction when it was a question of choosing the good, and I do not see why I should place any greater confidence in them in other matters.

나는 이제 그 근거들이 충분히 확고한지를 볼 것이다. 내가 여기서 자연이 그렇게 가르친다고 말할 때, 내가 이해하는 바는, 단지 어떤 자발적 충동에 의해 내가 그것을 믿게끔 이끌린다는 것이지, 어떤 자연의 빛에 의해 그것이 참임이 나에게 드러난다는 것은 아니다. 이 둘은 서로 많이 다른 것이다. 실로, 자연의 빛에 의해 나에게 드러나는 모든 것, 예를 들어, 내가 의심한다는 사실로부터 내가 존재한다는 것이 따라 나온다는 것,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은 전혀 의심스러울 수 없는데, 이는 내가 이 빛만큼 신뢰하는 다른 어떤 능력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고, 또 그것이 참이 아니라고 가르쳐줄 수 있는 다른 어떤 능력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적 충동에 관한 한, 나는 이미 예전에 자주, 좋은 것을 선택해야 할 때 그 충동이 나를 더 나쁜 쪽으로 몰아갔다고 판단했고, 또 내가 왜 다른 사안에서 그것을 더 신뢰해야 하는지도 알지 못한다.

 

Then again, although these ideas do not depend on my will, it does not follow that they must come from things located outside me. Just as the impulses which I was speaking of a moment ago seem opposed to my will even though they are within me, so there may be some other faculty not yet fully known to me, which produces these ideas without any assistance from external things; this is, after all, just how I have always thought ideas are produced in me when I am dreaming.

음으로, 비록 그 관념들이 내 의지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렇다고 해서 그것들이 필연적으로 내 외부에 위치한 사물들에서 유래한다는 것은 알려진 바가 없는데, 왜냐하면 내가 방금 말했던, 내 안에 있을지라도 내 의지와는 상이해 보이는 저 충동들과 마찬가지로, 어쩌면 또한 아직 나에게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다른 어떤 능력이 그러한 관념들의 산출자156로서 내 안에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내가 꿈꾸는 동안 외부 사물들의 도움이 전혀 없이도 그 관념들이 내 안에서 형성되는 것을 지금까지 늘 본 것처럼 말이다.

 

And finally, even if these ideas did come from things other than myself, it would not follow that they must resemble those things. Indeed, I think I have often discovered a great disparity in many cases. For example, there are two different ideas of the sun which I find within me. One of them, which is acquired as it were from the senses and which is a prime example of an idea which I reckon to come from an external source, makes the sun appear very small. The other idea is based on astronomical reasoning, that is, it is derived from certain notions which are innate in me (or else it is constructed by me in some other way), and this idea shows the sun to be several times larger than the earth. Obviously both these ideas cannot resemble the sun which exists outside me; and reason persuades me that the idea which seems to have emanated most directly from the sun itself has in fact no resemblance to it at all.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관념들이 나와 상이한 사물들에서 유래한다고 해도, 이로부터 그것들이 그 사물들과 유사해야 한다는 것은 따라 나오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나는 자주 많은 경우에서 커다란 차이를 포착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나는 내 안에서 태양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관념들을 발견한다. 그 하나는 감각에서 길어 올려진 것 같은 관념, 그리고 무엇보다도 내가 외래관념으로 간주하는 것들 가운데 포함되어야 하는 관념인데, 이것을 통해 태양은 나에게 아주 작게 나타난다. 반면 다른 하나는 천문학적 근거들에서 취해진 관념, 다시 말해 나에게 본유적인 어떤 개념들에서 끌어내진 관념이거나, 혹은 어떤 다른 방식으로 나에 의해 만들어진 관념인데, 이것을 통해 태양은 지구보다 몇 배나 큰 것으로 현시된다. 분명, 이 두 관념 모두 내 외부에 현존하는 저 태양과 유사할 수 없으며, 또 이성은 태양 자체에서 가장 직접 유출된 것으로 보이는 관념이 태양과 가장 유사하지 않다고 설득한다.

 

All these considerations are enough to establish that it is not reliable judgement but merely some blind impulse that has made me believe up till now that there exist things distinct from myself which transmit to me ideas or images of themselves through the sense organs or in some other way.

이 모든 것은 내가 지금까지 확실한 판단이 아니라 그저 어떤 맹목적 충동으로, 감각기관을 통해, 아니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그 관념들 혹은 상들을 내 안에 들여보내는 나와 상이한 어떤 것들이 현존한다고 믿고 있었음을 충분히 증명한다.

 

But it now occurs to me that there is another way of investigating whether some of the things of which I possess ideas exist outside me. In so far as the ideas are simply modes of thought, there is no recognizable inequality among them: they all appear to come from within me in the same fashion. But in so far as different ideas represent different things, it is clear that they differ widely. Undoubtedly, the ideas which represent substances to me amount to something more and, so to speak, contain within themselves more objective' reality than the ideas which merely represent modes or accidents. Again, the idea that gives me my understanding of a supreme God, eternal, infinite, omniscient, omnipotent and the creator of all things that exist apart from him, certainly has in it more objective reality than the ideas that represent finite substances.

그러나 내가 지닌 관념들에 대한 사물들 가운데 어떤 것이 내 외부에 현존하는지를 탐구하는 또 다른 어떤 길이 나에게 떠오른다. 즉, 그 관념들이 단지 사유의 특정 양태들인 한에서, 나는 그것들 간의 어떠한 비동등성도 인지하지 못하며, 그것들은 모두 같은 방식으로 나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관념은 이 사물을, 다른 관념은 다른 사물을 재현하는 만큼, 이 동일한 관념들이 서로 매우 상이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나에게 실체를 현시하는 관념은 그저 양태 혹은 우연적 성질을 재현하는 관념보다 더 큰 어떤 것이고, 말하자면, 더 많은 표상적 실재성을 자기 안에 포함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나에게 어떤 지고하고 영원하고 무한하고 전지하고 전능하고 자기 이외의 모든 것의 창조자인 신을 이해하게 해주는 관념은 유한 실체를 현시하는 관념보다 틀림없이 더 많은 표상적 실재성을 자기 안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

 

Now it is manifest by the natural light that there must be at least as much in the efficient and total cause as in the effect of that cause. For where, I ask, could the effect get its reality from, if not from the cause? And how could the cause give it to the effect unless it possessed it? It follows from this both that something cannot arise from nothing, and also that what is more perfect — that is, contains in itself more reality — cannot arise from what is less perfect. And this is transparently true not only in the case of effects which possess actual or formal reality, but also in the case of ideas, where one is considering only objective reality. A stone, for example, which previously did not exist, cannot begin to exist unless it is produced by something which contains, either formally or eminently everything to be found in the stone; 2 similarly, heat cannot be produced in an object which was not previously hot, except by something of at least the same order of perfection as heat, and so on. But it is also true that the idea of heat, or of a stone, cannot exist in me unless it is put there by some cause which contains at least as much reality as I conceive to be in the heat or in the stone. For although this cause does not transfer any of its actual or formal reality to my idea, it should not on that account be supposed that it must be less real.' The nature of an idea is such that of itself it requires no formal reality except what it derives from my thought, of which it is a mode.4 But in order for a given idea to contain such and such objective reality, it must surely derive it from some cause which contains at least as much formal reality as there is objective reality in the idea. For if we suppose that an idea contains something which was not in its cause, it must have got this from nothing; yet the mode of being by which a thing exists objectively in the intellect by way of an idea, imperfect though it may be, is certainly not nothing, and so it cannot come from nothing.

그러나 지금, 자연의 빛에 의해 명백한 것은, 작용 및 전체 원인 안에는 그 원인의 결과 안에 있는 것과 적어도 동등한 실재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묻건대, 결과는 원인에서가 아니면 도대체 어디에서 자신의 실재성을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그리고 원인은, 자신이 또한 실재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 어떻게 실재성을 결과에게 줄 수 있겠는가? 그리고 이로부터, 어떤 것이 무에서 생긴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또한 더 완전한 것, 다시 말해 자기 안에 더 많은 실재성을 포함하는 것이 덜 완전한 것에서 생긴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따라 나온다. 그리고 이 진리는 현실적 혹은 형상적 실재성을 갖고 있는 결과들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그저 표상적 실재성만이 고려되는 관념들에 대해서도 명료하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어떤 돌이 지금 존재하기를 시작한다는 것은 돌 안에 놓여 있는 것 전체를 형상적으로든 우월적으로든 자기 안에 갖고 있는 어떤 것에 의해 산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열이 전에는 뜨겁지 않았던 주체 안에 도입된다는 것은 열과 적어도 동등한 정도의 완전성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며, 그 밖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뿐만 아니라 또한, 열이나 돌의 관념이 내 안에 있다는 것은 열이나 돌 안에 있다고 내가 생각하는 것과 적어도 동등한 실재성을 자기 안에 갖고 있는 어떤 원인에 의해 내 안에 놓여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그 원인이 자기의 현실적 즉 형상적 실재성을 내 관념 안에 아무것도 옮기지 않는다고 해도,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아마 덜 실재적일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관념이 내 사유의 양태인 만큼, 관념은 내 사유에서 빌리는 형상적 실재성 이외에 다른 어떤 형상적 실재성도 자기 스스로 요구하지 않는 것이 그 본성이라고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관념이 다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런저런 표상적 실재성을 포함한다면, 이 관념은 분명 그 실재성을 자신이 포함하는 표상적 실재성과 적어도 동등한 형상적 실재성을 가지는 어떤 원인으로부터 얻어야 한다.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그 원인 안에 있지 않은 어떤 것이 관념 안에서 발견된다고 조정할 경우, 관념은 그것을 그러므로 무로부터 가질 테지만, 사물이 관념을 통해 지성 안에 표상적으로 존재하는 이 존재방식이 아무리 불완전하다고 해도, 이것은 분명 무가 전혀 아니며, 따라서 무로부터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And although the reality which I am considering in my ideas is merely objective reality, I must not on that account suppose that the same reality need not exist formally in the causes of my ideas, but that it is enough for it to be present in them objectively. For just as the objective mode of being belongs to ideas by their very nature, so the formal mode of being belongs to the causes of ideas — or at least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ones — by their very nature. And although one idea may perhaps originate from another, there cannot be an infinite regress here; eventually one must reach a primary idea, the cause of which will be like an archetype which contains formally all the reality which is present only objectively in the idea. So it is clear to me, by the natural light, that the ideas in me are like images which can easily fall short of the perfection of the things from which they are taken, but which cannot contain anything greater or more perfect.

또한 나는 내가 내 관념들에서 고찰하는 실재성이 그저 표상적인 것이므로, 그 실재성이 이 관념들의 원인들 안에 형상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고, 그 원인들 안에서도 표상적으로 존재하면 충분하다는 의혹을 품어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이 표상적 존재방식이 관념의 본성상 관념들에 어울리듯이, 형상적 존재방식은 관념의 원인의 본성상 관념들의 원인들에, 적어도 최초의 그리고 주된 원인들에 어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혹시라도 한 관념이 다른 관념에서 생길 수 있다고 해도, 그렇지만 여기에 무한 진행이 있는 것이 아니라, 결국에는 어떤 최초의 관념에 도달해야 하며, 이 최초의 관념의 원인은 원형과 같은 것이라, 그 안에는 관념 안에 그저 표상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실재성이 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런 만큼 자연의 빛에 의해 나에게 명료한 것은, 관념들은 일종의 상들처럼 내 안에 있으며, 이 상들은 분명 그것들이 추출된 사물들의 완전성에 미치지 못하기는 쉬울 수 있겠지만, 더 크거나 더 완전한 어떤 것을 포함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The longer and more carefully I examine all these points, the more clearly and distinctly I recognize their truth. But what is my conclusion to be? If the objective reality of any of my ideas turns out to be so great that I am sure the same reality does not reside in me, either formally or eminently, and hence that I myself cannot be its cause, it will necessarily follow that I am not alone in the world, but that some other thing which is the cause of this idea also exists. But if no such idea is to be found in me, I shall have no argument to convince me of the existence of anything apart from myself. For despite a most careful and comprehensive survey, this is the only argument I have so far been able to find.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더 오래 더 주의 깊게 조사하면 할수록, 나는 그것들이 참임을 그만큼 더 명석하고 더 판명하게 인식한다. 그러나 이것들로부터 결국 무엇을 결론지을 것인가?171 그것은, 만일 내 관념들 가운데 어떤 관념의 표상적 실재성이 매우 커서, 형상적으로도 우월적으로도 내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따라서 내가 나 자신이 그 관념의 원인일 수 없다고 확신한다면, 이로부터 세계 안에 나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관념의 원인인 다른 어떤 것 또한 현존한다는 것이 필연적으로 따라 나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러한 관념이 내 안에서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는다면, 나는 나와 상이한 어떤 것의 현존을 나에게 확신시켜주는 논거를172 전혀 갖지 못할 것이다. 나는 모든 것을 극히 세심히 둘러보았고, 지금까지 다른 어떤 것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Among my ideas, apart from the idea which gives me a representation of myself, which cannot present any difficulty in this context, there are ideas which variously represent God, corporeal and inanimate things, angels, animals and finally other men like myself.

그런데 내 안에 있는 이 관념들 가운데 나 자신을 나에게 현시해주는 관념에 대해서는 이제 아무 어려움도 없겠지만, 이 관념 외에 신을 재현하는 다른 관념이 있고, 물체적인 것, 무생물, 천사, 짐승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와 유사한 다른 인간을 재현하는 다른 관념들이 있다.

 

As far as concerns the ideas which represent other men, or animals, or angels, I hav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at they could be put together from the ideas I have of myself, of corporeal things and of God, even if the world contained no men besides me, no animals and no angels.

그리고 다른 인간, 짐승 혹은 천사를 현시하는 관념들에 대해서는, 나 이외에 어떠한 인간도, 짐승도, 천사도 세계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나는 그 관념들이 내가 나 자신에 대해, 물체적인 것에 대해 그리고 신에 대해 갖고 있는 관념들로부터 구성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한다.

 

As to my ideas of corporeal things, I can see nothing in them which is so great as to make it seem impossible that it originated in myself. For if I scrutinize them thoroughly and examine them one by one, in the way in which I examined the idea of the wax yesterday, I notice that the things which I perceive clearly and distinctly in them are very few in number. The list comprises size, or extension in length, breadth and depth; shape, which is a function of the boundaries of this extension; position, which is a relation between various items possessing shape; and motion, or change in position; to these may be added substance, duration and number. But as for all the rest, including light and colours, sounds, smells, tastes, heat and cold and the other tactile qualities, I think of these only in a very confused and obscure way, to the extent that I do not even know whether they are true or false, that is, whether the ideas I have of them are ideas of real things or of non-things.' For although, as I have noted before, falsity in the strict sense, or formal falsity, can occur only in judgements, there is another kind of falsity, material falsity, which occurs in ideas, when they represent non-things as things. For example, the ideas which I have of heat and cold contain so little clarity and distinctness that they do not enable me to tell whether cold is merely the absence of heat or vice versa, or whether both of them are real qualities, or neither is. And since there can be no ideas which are not as it were of things, if it is true that cold is nothing but the absence of heat, the idea which represents it to me as something real and positive deserves to be called false; and the same goes for other ideas of this kind.

그러나 물체적 사물들의 관념들에 대해서는,175 이것들 가운데 나 자신으로부터 비롯될176 수 있었다고 보이지 않을 만큼 큰 것은 아무것도 눈에 띄지 않는다. 왜냐하면 내가 그것들을 더욱 깊이 들여다보고, 어제 밀랍의 관념을 조사했던 대로 하나하나 조사한다면, 나는 그 관념들에서 명석판명하게 지각하는 것은 아주 적다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크기, 즉 길이, 넓이, 깊이로 된 연장, 이 연장의 경계로부터 생기는 형태, 상이한 형태의 것들이 서로 점하는 위치 및 이 위치의 변화 즉 운동이고, 여기에 실체, 지속 및 수가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나머지 것들, 즉 빛, 색, 소리, 냄새, 맛, 뜨거움과 차가움 그리고 다른 촉각적 성질들은 매우 혼동되고 모호하게177만 나에 의해 사유되고, 그런 만큼 나는 그것이 참인지 거짓인지조차, 다시 말해, 내가 그것에 대해 갖는 관념이 어떤 사물에 대한 관념인지 사물이 아닌 것에 대한 관념인지조차 알지 못한다.178 왜냐하면 내가 조금 전에 본래 의미에서의 거짓 즉 형상적 거짓은 판단에서만 발견될 수 있음을 주의한 바 있지만, 관념이 사물이 아닌 것을 사물로 재현할 때 다른 어떤 질료적 거짓이 관념 안에 있다는 것은 분명하기179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가 뜨거움과 차가움에 대해 갖는 관념들은 거의 명석판명하지 않기 때문에, 차가움이 단지 뜨거움의 결여인지, 아니면 뜨거움이 차가움의 결여인지, 아니면 둘 다 실재적 성질들인지,180 아니면 둘 다 아닌지를 나는 그 관념들로부터 알아낼 수 없다. 그리고 모든 관념은 사물의 관념으로만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정말 차가움이 뜨거움의 결여와 다른 것이 전혀 아님이 참이라면, 차가움을 실재적이고 적극적인 어떤 것으로 나에게 재현하는 관념을 거짓이라고 말한들 부당한 것은 아니며, 그 밖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Such ideas obviously do not require me to posit a source distinct from myself. For on the one hand, if they are false, that is, represent non-things, I know by the natural light that they arise from nothing — that is, they are in me only because of a deficiency and lack of perfection in my nature. If on the other hand they are true, then since the reality which they represent is so extremely slight that I cannot even distinguish it from a non-thing, I do not see why they cannot originate from myself.

내가 이런 관념들에 나와 상이한 어떤 작자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만일 정말 그 관념들이 거짓이라면, 다시 말해 어떠한 것들도 재현하지 않는다면, 그것들이 무에서 유래한다는 것, 달리 말해 그것들이 내 안에 있는 것은 내 본성에 어떤 것이 빠져 있고,181 또한 내 본성이 전적으로 완전하지도 않다는 이유 외에 다른 어떤 이유도 없음을 자연의 빛은 나에게 알려준다. 그러나 만일 그 관념들이 참된 것이라면, 그것들은 사물이 아닌 것과 구별할 수조차 없을 만큼 적은 실재성을 나에게 현시하므로, 그것들이 왜 나 자신에서 나올 수 없는지를 나는 알지 못한다.

 

With regard to the clear and distinct elements in my ideas of corporeal things, it appears that I could have borrowed some of these from my idea of myself, namely substance, duration, number and anything else of this kind. For example, I think that a stone is a substance, or is a thing capable of existing independently, and I also think that I am a substance. Admittedly I conceive of myself as a thing that thinks and is not extended, whereas I conceive of the stone as a thing that is extended and does not think, so that the two conceptions differ enormously; but they seem to agree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substance'.' Again, I perceive that I now exist, and remember that I have existed for some time; moreover, I have various thoughts which I can count; it is in these ways that I acquire the ideas of duration and number which I can then transfer to other things. As for all the other elements which make up the ideas of corporeal things, namely extension, shape, position and move ment, these are not formally contained in me, since I am nothing but a thinking thing; but since they are merely modes of a substance,' and I am a substance, it seems possible that they are contained in me eminently.

그러나 물체적 사물들에 대한 관념들 안에서 명석판명한 관념에 관해 말한다면, 어떤 것들, 즉 실체, 지속, 수 및 이런 유의 다른 것들은 내가 나 자신의 관념에서 빌릴183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내가 돌은 실체, 즉 스스로 현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사유하고, 똑같이 나는 실체라고 사유할 때, 내가 나는 사유하는 것이지 연장된 것이 아닌 반면, 돌은 연장된 것이지 사유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하고, 따라서 이 두 개념 사이에 극도의 상이성이 있음을 인식한다고 해도, 그렇지만 그것들은 실체라는 점에서는 서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똑같이, 내가 나는 지금 존재한다는 것을 지각하고 전에도 한동안 존재했었다는 것을 상기할 때, 그리고 내가 다양한 여러 사유들을 갖고 있고 그 수를 이해할 때, 나는 지속과 수의 관념들을 획득하며, 그런 다음 이것들을 임의의 다른 어떤 것들로 옮길 수 있다.184 그러나 물체적 사물들의 관념들을 이루는 나머지 모든 것들, 즉 연장, 형태, 위치 및 운동은, 나는 사유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형상적으로 내 안에 포함되지 않기는 하지만, 그러나 그것들은 그저 실체들의 어떤 양태들인 반면 나는 실체이기 때문에 내 안에 우월적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o there remains only the idea of God; and I must consider whether there is anything in the idea which could not have originated in myself. By the word 'God' I understand a substance that is infinite, independent, supremely intelligent, supremely powerful, and which created both myself and everything else (if anything else there be) that exists. All these attributes are such that, the more carefully I concentrate on them, the less possible it seems that they' could have originated from me alone. So from what has been said it must be concluded that God necessarily exists.

이로써 신의 관념만이 남으며, 이 관념 안에 나 자신으로부터 비롯될 수 없었던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찰해야 한다. 신이라는 이름으로 내가 이해하는 바는, 어떤 무한한, 비의존적인, 전지한, 전능한, 그리고 한편으로는 나 자신, 다른 한편으로는, 만일 다른 어떤 것이 현존한다면, 현존하는 다른 모든 것을 창조한 실체이다. 분명, 이 모든 것들은 내가 보다 세심히 주의를 기울일수록 그만큼 더 나로부터만 비롯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 그러한 것들이다.186 그러므로 앞에서 말한 것으로부터 신은 필연적으로 현존한다고 결론지어야 한다.

 

It is true that I have the idea of substance in me in virtue of the fact that I am a substance; but this would not account for my having the idea of an infinite substance, when I am finite, unless this idea proceeded from some substance which really was infinite.

왜냐하면 나는 실체라는 바로 이 사실로부터 실체의 관념이 분명 내 안에 있다고 해도,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나는 유한하므로 그 관념이 실제로 무한한 어떤 실체에서 유래하지187 않고서는, 무한 실체의 관념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And I must not think that, just as my conceptions of rest and darkness are arrived at by negating movement and light, so my perception of the infinite is arrived at not by means of a true idea but merely by negating the finite. On the contrary, I clearly understand that there is more reality in an infinite substance than in a finite one, and hence that my perception of the infinite, that is God, is in some way prior to my perception of the finite, that is myself. For how could I understand that I doubted or desired — that is, lacked something — and that I was not wholly perfect, unless there were in me some idea of a more perfect being which enabled me to recognize my own defects by comparison?

그리고 나는 내가 무한한 것을 참된 관념을 통해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정지와 어둠을 운동과 빛의 부정을 통해 지각하듯이, 단지 유한한 것의 부정을 통해서만 지각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188 왜냐하면 나는 반대로, 무한 실체 안에는 유한 실체 안에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실재성이 있다는 것, 따라서 유한한 것에 대한 지각보다 무한한 것에 대한 지각이, 즉 나 자신에 대한 지각보다 신에 대한 지각이 어떤 의미에서 앞선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하기 때문이다. 실로, 만일 더 완전한 존재자의 관념이 내 안에 전혀 없고, 내가 그것과의 비교를 통해 내 결함을 인지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내가 나는 의심한다는 것, 나는 욕망한다는 것, 다시 말해, 어떤 것이 나에게 빠져 있다는 것 그리고 나는 전적으로 완전하지는 않다는 것을 이해하겠는가?

 

Nor can it be said that this idea of God is perhaps materially false and so could have come from nothing, 3 which is what I observed just a moment ago in the case of the ideas of heat and cold, and so on. On the contrary, it is utterly clear and distinct, and contains in itself more objective reality than any other idea; hence there is no idea which is in itself truer or less liable to be suspected of falsehood. This idea of a supremely perfect and infinite being is, I say, true in the highest degree; for although perhaps one may imagine that such a being does not exist, it cannot be supposed that the idea of such a being represents something unreal, as I said with regard to the idea of cold. The idea is, moreover, utterly clear and distinct; for whatever I clearly and distinctly perceive as being real and true, and implying any perfection, is wholly contained in it. It does not matter that I do not grasp the infinite, or that there are countless additional attributes of God which I cannot in any way grasp, and perhaps cannot even reach in my thought; for it is in the nature of the infinite not to be grasped by a finite being like myself. It is enough that I understand' the infinite, and that I judge that all the attributes which I clearly perceive and know to imply some perfection — and perhaps countless others of which I am ignorant — are present in God either formally or eminently. This is enough to make the idea that I have of God the truest and most clear and distinct of all my ideas.

또 내가 조금 전에 뜨거움, 차가움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의 관념들에 대해 주의했듯이, 이 신의 관념은 어쩌면 질료적으로 거짓이라고, 그래서 무로부터 나올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반대로 신의 관념은 극히 명석하고 판명하며, 다른 어떤 관념보다 더 많은 표상적 실재성을 포함하므로, 그 관념보다 그 자체로 더 참된 관념도 없고, 그 관념에서보다 거짓의 의혹이 덜 발견되는 관념도 없기 때문이다.190 말하건대, 이 최고로 완전하고 무한한 존재자의 관념은 극히 참되다. 왜냐하면, 혹시 이러한 존재자가 현존하지 않는다고 꾸며낼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렇지만 그 관념이, 앞에서 차가움의 관념에 대해 말했듯이, 나에게 실재적인 것을 아무것도 현시하지 않는다고 꾸며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 관념은 또한 극히 명석판명하다. 왜냐하면 내가 실재적인 것으로 그리고 참된 것으로 지각하는 것은 무엇이든, 또 어떤 완전성을 내포하는191 것은 무엇이든 전부 그 관념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192 그리고 내가 무한한 것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도, 혹은 내가 도저히 파악할 수 없는, 그리고 혹시 사유로 닿을 수조차 없는 다른 것이 신 안에 무수히 많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한한 나에 의해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은 무한한 것의 본성에 속하기 때문이다. 또 내가 바로 이것을 이해한다는 것만으로, 그리고 내가 명석하게 지각하는 모든 것, 어떤 완전성을 내포한다고 내가 아는 모든 것, 또 어쩌면 내가 모르는 다른 무수한 것들 또한 형상적으로든 우월적으로든 신 안에 존재한다고 내가 판단한다는 것만으로 내가 신에 대해 갖는 관념이 내 안에 있는 모든 관념들 가운데 가장 참되고 가장 명석판명한 관념이기 위해 충분하기 때문이다.

 

But perhaps I am something greater than I myself understand, and all the perfections which I attribute to God are somehow in me potentially, though not yet emerging or actualized. For I am now experiencing a gradual increase in my knowledge, and I see nothing to prevent its increasing more and more to infinity. Further, I see no reason why I should not be able to use this increased knowledge to acquire all the other perfections of God. And finally, if the potentiality for these perfections is already within me, why should not this be enough to generate the idea of such perfections?

그러나 어쩌면 나는 내가 이해하는 것보다 더 큰 어떤 것일지도 모르고, 내가 신에게 귀속시키는 그 모든 완전성이, 비록 아직 발현되지 않고, 현실화되지도 않고 있지만, 가능적으로는 어떤 식으로 내 안에 있을지도 모른다.193 왜냐하면 나는 이미 내 인식이 조금씩 증대되는 것을 경험하기 때문이고, 또 나는 그 인식이 이렇게 점점 더 무한에까지 증대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심지어 그 인식이 이렇게 증대되면, 내가 왜 그 도움으로 신의 나머지 모든 완전성을 획득할 수 없는지도, 마지막으로, 만일 이 완전성들을 위한 능력이 이미 내 안에 있다면, 그것이 왜 이런 완전성들의 관념들을 산출하기에 충분치 않은지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But all this is impossible. First, though it is true that there is a gradual increase in my knowledge, and that I have many potentialities which are not yet actual, this is all quite irrelevant to the idea of God, which contains absolutely nothing that is potential; 2 indeed, this gradual increase in knowledge is itself the surest sign of imperfection. What is more, even if my knowledge always increases more and more, I recognize that it will never actually be infinite, since it will never reach the point where it is not capable of a further increase; God, on the other hand, I take to be actually infinite, so that nothing can be added to his perfection. And finally, I perceive that the objective being of an idea cannot be produced merely by potential being, which strictly speaking is nothing, but only by actual or formal being.

천만에, 그 어떤 것도 가능하지 않다. 왜냐하면 우선, 내 인식이 점차 증대된다는 것, 그리고 많은 것들이 아직 실현되고 있지는 않지만 가능적으로 내 안에 있다는 것이 참이라도 해도, 그 가운데 어떠한 것도 신의 관념에 속하지 않는바, 이는 신의 관념 안에는 분명 가능적인 것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195 그리고 점차 증대된다는 바로 이것이야말로 불완전성에 대한 아주 확실한 방증 196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내 인식이 계속 점점 더 증대된다고 해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인식이 결코 현실적으로197 무한하지 못할 것임을 이해하는바, 이는 내 인식이 그 이상의 증대를 받아들일 수 없는 지점에는 결코 도달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나는 신이 그 완전성에 아무것도 추가될 수 없을 만큼 현실적으로 무한하다고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관념의 표상적 존재는 엄밀히 말해 무와 다름없는 그저 가능적 존재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현실적 혹은 형상적 존재에 의해서만 산출될 수 있음을 나는 지각한다.

 

If one concentrates carefully, all this is quite evident by the natural light. But when I relax my concentration, and my mental vision is blinded by the images of things perceived by the senses, it is not so easy for me to remember why the idea of a being more perfect than myself must necessarily proceed from some being which is in reality more perfect. I should therefore like to go further and inquire whether I myself, who have this idea, could exist if no such being existed.

그리고 분명,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인다면, 이 모든 것 안에 자연의 빛에 의해 명백하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내가 주의를 덜 집중하고, 감각적 사물들의 상들이 정신의 눈을 멀게 하면, 왜 나보다 더 완전한 존재자의 관념이 실제로 더 완전한 어떤 존재자에서 반드시 유래하는지를 기억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더 나아가, 만일 그러한 존재자가 전혀 현존하지 않는다면, 그 관념을 갖고 있는 나 자신이 존재할 수 있는지를 기꺼이 탐구할 것이다.

 

From whom, in that case, would I derive my existence? From myself presumably, or from my parents, or from some other beings less perfect than God; for nothing more perfect than God, or even as perfect, can be thought of or imagined.

과연 나는 누구로부터 나오는가? 물론 나로부터, 아니면 부모로부터, 아니면 신보다 덜 완전한 다른 어떤 것으로부터. 신보다 더 완전한 것은, 심지어 신만큼 완전한 것은 그 어떤 것도 사유되거나 꾸며내질 수 없으니 말이다.

 

Yet if I derived my existence from myself,' then I should neither doubt nor want, nor lack anything at all; for I should have given myself all the perfections of which I have any idea, and thus I should myself be God. I must not suppose that the items I lack would be more difficult to acquire than those I now have. On the contrary, it is clear that, since I am a thinking thing or substance, it would have been far more difficult for me to emerge out of nothing than merely to acquire knowledge of the many things of which I am ignorant — such knowledge being merely an accident of that substance. And if I had derived my existence from myself, which is a greater achievement, I should certainly not have denied myself the knowledge in question, which is something much easier to acquire, or indeed any of the attributes which I perceive to be contained in the idea of God; for none of them seem any harder to achieve. And if any of them were harder to achieve, they would certainly appear so to me, if I had indeed got all my other attributes from myself, since I should experience a limitation of my power in this respect.

그런데, 만일 내가 나로부터 나온다면, 나는 의심하지도 원하지도 않을 것이며, 단적으로202 그 어떤 것도 나에게 빠져 있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완전성들에 대한 관념들이 내 안에 있다면, 나는 그 모든 완전성들을 나에게 주었을 것이고, 그래서 내가 바로 신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혹시, 나에게 빠져 있는 완전성들이 이미 내 안에 있는 완전성들보다 획득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반대로, 나, 다시 말해 사유하는 것, 혹은 사유하는 실체가 무로부터 출현하는 것이 이 실체의 우유성들에 불과한, 내가 모르는 많은 것들에 대한, 인식들을 획득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웠다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203 그리고 확실히, 만일 내가 더 큰 저것을 나로부터 얻는다면, 적어도 나는 더 쉽게 가지게 되는 이것들을 나로 하여금 거부하지 않게 했을 것이고,204 또 내가 신의 관념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지각하는 것들 가운데 다른 어떤 것도 거부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실 그것들에서 만들어내기가 더 어렵게 보이는 것은 어떤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그것들에서 만들어내기가 더 어려운 것들이 있다면, 확실히 그것들 또한 나에게 더 어렵게 보일 것이다. 만일 정말 내가 갖고 있는 나머지 것들을 나로부터 얻는다면 말이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들에서 내 힘이 한정되는 것을 경험할 것이기 때문이다.

 

I do not escape the force of these arguments by supposing that I have always existed as I do now, as if it followed from this that there was no need to look for any author of my existence. For a lifespan can be divided into countless parts, each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others, so that it does not follow from the fact that I existed a little while ago that I must st now, unless there is some cause which as it were creates me afresh at this moment — that is, which preserves me. For it is quite clear to anyone who attentively considers the nature of time that the same power and action are needed to preserve anything at each individual moment of its duration as would be required to create that thing anew if it were not yet in existence. Hence the distinction between preservation and creation is only a conceptual one,' and this is one of the things that are evident by the natural light.

그리고 혹시 내가 지금 존재하는 대로 항상 존재해왔다고 가정한다 해도, 이 근거들의 힘을 피하지는 못한다. 마치 이 가정으로부터 내 현존의 어떠한 작자도 찾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 따라 나오기나 하는 것처럼 말이다. 왜냐하면 생애의 시간 전체는 무수한 부분들로 나뉠 수 있고, 그 각각의 부분들은 나머지 부분들에 어떤 식으로도 의존하지 않으므로, 내가 조금 전에 존재했다는 사실로부터 내가 지금 존재해야 한다는 사실은 따라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원인이 이 순간에, 말하자면 나를 한 번 더 창조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나를 보존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실로, 어떠한 것이든 그것이 지속되는 매 순간 보존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아직 현존하지 않았을 경우에 새롭게 창조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과 전적으로 동일한 힘과 작용이 필요하다는 것은 시간의 본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이들에게는 명료하고, 그런 만큼 보존은 개념적으로만 창조와 구별된다는 것 역시 자연의 빛에 의해 명백한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I must therefore now ask myself whether I possess some power enabling me to bring it about that I who now exist will still exist a little while from now. For since I am nothing but a thinking thing — or at least since I am now concerned only and precisely with that part of me which is a thinking thing — if there were such a power in me, I should undoubtedly be aware of it. But I experience no such power, and this very fact makes me recognize most clearly that I depend on some being distinct from myself.

그래서 나는 이제, 지금 존재하는 이 나, 이 나를 조금 후에도 존재하게끔 할 수 있는 어떤 힘을 내가 갖고 있는지를 나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 왜냐하면 나는 사유하는 것과 다름없으므로, 혹은 적어도 지금은 바로 사유하는 것이라는 나의 그 부분만을 다루고 있으므로, 만일 그러한 힘이 내 안에 있다면, 나는 의심의 여지 없이 그것을 의식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리고 나는 내 안에 그러한 힘이 전혀 없다는 것을 경험하며,207 바로 이것으로부터 나는 내가 나와 상이한 어떤 존재자에 의존한다는 것을 극히 명증하게 인식한다.

 

But perhaps this being is not God, and perhaps I was produced either by my parents or by other causes less perfect than God. No; for as I have said before, it is quite clear that there must be at least as much in the cause as in the effect.' And therefore whatever kind of cause is eventually proposed, since I am a thinking thing and have within me some idea of God, it must be admitted that what caused me is itself a thinking thing and possesses the idea of all the perfections which I attribute to God. In respect of this cause one may again inquire whether it derives its existence from itself or from another cause. If from itself, then it is clear 5o from what has been said that it is itself God, since if it has the power of existing through its own might,2 then undoubtedly it also has the power of actually possessing all the perfections of which it has an idea — that is, all the perfections which I conceive to be in God. If, on the other hand, it derives its existence from another cause, then the same question may be repeated concerning this further cause, namely whether it derives its existence from itself or from another cause, until eventually the ultimate cause is reached, and this will be God.

그러나 어쩌면 그 존재자는 신이 아닐지도 모르고, 나는 부모로부터, 아니면 신보다 덜 완전한 임의의 다른 원인들로부터 산출되었을지도 모른다. 천만에, 이미 앞에서 말했듯이, 원인 안에는 최소한 결과 안에 존재하는 것만큼은 있어야 한다는 것은 명료하다. 그리고 그 때문에 나는 사유하는 것이고 신에 대한 어떤 관념을 내 안에 가지는 것이므로, 내 원인으로 지정되는 것이 결국 어떠한 것이든, 그것 역시 사유하는 것이고, 내가 신에 귀속시키는 모든 완전성의 관념을 가지는 것임을 시인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에 대해 다시, 그것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오는지 아니면 다른 것으로부터 나오는지를 물을 수 있다. 실로, 만일 자기 자신으로부터라면, 앞에서 말한 것으로부터, 그가 바로 신임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사실, 그것이 그 스스로 현존하는 힘을 가지므로, 그것은 또한 의심의 여지 없이 그 모든 완전성들─그것이 이것들의 관념들을 자신 안에 갖고 있는─다시 말해, 내가 신 안에 있다고 생각하는 그 모든 완전성들을 현실적으로 소유하는 힘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다른 것으로부터 나온다면, 이 다른 것에 대해 다시 같은 방식으로, 그것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오는지, 아니면 다른 것으로부터 나오는지를 물을 것이고, 이 물음은 결국 궁극 원인에 이를 때까지 이어질 것이며, 이 궁극 원인은 신일 것이다.

 

It is clear enough that an infinite regress is impossible here, especially since I am dealing not just with the cause that produced me in the past, but also and most importantly with the cause that preserves me at the present moment.

실로, 이때 어떠한 무한 진행도 있을 수 없음은 충분히 명백한데, 내가 여기서 다루는 것은 예전에 나를 산출한 원인만이 아니라, 오히려 또한 무엇보다도 나를 현재 보존하는 원인이기에 특히 그렇다.

 

Nor can it be supposed that several partial causes contributed to my creation, or that I received the idea of one of the perfections which I attribute to God from one cause and the idea of another from another — the supposition here being that all the perfections are to be found somewhere in the universe but not joined together in a single being, God. On the contrary, the unity, the simplicity, or the inseparability of all the attributes of Go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 perfections which I understand him to have. And surely the idea of the unity of all his perfections could not have been placed in me by any cause which did not also provide me with the ideas of the other perfections; for no cause could have made me understand the interconnection and inseparability of the perfections without at the same time making me recognize what they were.

또 어쩌면 나를 만들기 위해 여러 부분 원인들이 협력했을 것이고, 나는 그 하나의 원인으로부터 내가 신에 귀속시키는 완전성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관념을, 다른 원인으로부터는 다른 완전성의 관념을 받았을 것이며, 그래서 이 모든 완전성들은 우주 안 어딘가에서 발견되기는 하겠지만, 그렇다고 그 모든 것이 신이라는 어느 하나의 것 안에 함께 결합되어 발견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꾸며낼 수도 없다. 왜냐하면 반대로, 신 안에 있는 그 모든 완전성들의 단일성, 단순성, 즉 분리 불가능성은 내가 신 안에 있다고 이해하는 주요 완전성들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211 그리고 확실한 것은, 신의 모든 완전성들에 대한 이 단일성의 관념은 그 어떤 원인─이것으로부터 내가 또한 다른 완전성들의 관념을 받지 않은─에 의해서도 내 안에 놓일 수 없었다는 것이다.212 왜냐하면 그 원인은 내가 그 모든 완전성들이 어떤 것들인지를 동시에 알게 하지 않고서는, 또한 그 모든 완전성들이 서로 결합되고 분리 불가능한 것임을 이해하게 하지도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Lastly, as regards my parents, even if everything I have ever believed about them is true, it is certainly not they who preserve me; and in so far as I am a thinking thing, they did not even make me; they merely placed certain dispositions in the matter which I have always regarded as containing me, or rather my mind, for that is all I now take myself to be. So there can be no diffiulty regarding my parents in this context. Altogether then, it must be concluded that the mere fact that I exist and have within me an idea of a most perfect being, that is, God, provides a very clear proof that God indeed exists.

마지막으로 부모에 관해 말하자면, 내가 일찍이 부모에 대해 생각한 모든 것이 참되다고 해도, 그러나 나를 보존하는 것도, 심지어, 내가 사유하는 것인 한, 어떤 식으로도 나를 만들어낸 것도 그들이 아님은 분명하다. 대신 그들은 단지 나, 다시 말해 내가 지금 유일하게 나로 받아들이는 정신이 내재한다고 판단한 그 질료 안에 어떤 기질들만을 놓아두었다.214 따라서 여기서는 부모에 관해 어떤 어려움도 있을 수 없다. 오히려 주저 없이215 결론지어야 하는 것은, 내가 현존한다는 것, 그리고 극히 완전한 존재자, 다시 말해 신에 대한 어떤 관념이 내 안에 있다는 이 사실만으로부터 신 또한 현존한다는 것이 극히 명증하게 증명된다는 것이다.

 

It only remains for me to examine how I received this idea from God. For I did not acquire it from the senses; it has never come to me unexpectedly, as usually happens with the ideas of things that are per ceivable by the senses, when these things present themselves to the external sense organs — or seem to do so. And it was not invented by me either; for I am plainly unable either to take away anything from it or to add anything to it. The only remaining alternative is that it is innate in me, just as the idea of myself is innate in me.

남아 있는 것은 내가 어떤 식으로 이 관념을 신으로부터 받아들였는지를 조사하는 것뿐이다. 실로, 나는 그것을 감각들에서 길어내지도 않았고, 그것은 결코, 감각적 사물들이 외적 감각기관과 마주치거나 혹은 마주치는 것으로 보일 때 그 사물들의 관념들이 그러곤 하듯이, 예기치 않게 나에게 불쑥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또한 내가 지어낸 것도 아니다.216 왜냐하면 나는 도저히 그것에서 어떤 것을 뺄 수도, 어떤 것을 더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아 있는 것은, 나 자신의 관념이 나에게 본유적이듯이, 그 관념도 나에게 본유적이라는 것이다.

 

And indeed it is no surprise that God, in creating me, should have placed this idea in me to be, as it were, the mark of the craftsman stamped on his work — not that the mark need be anything distinct from the work itself. But the mere fact that God created me is a very strong basis for believing that I am somehow made in his image and likeness, and that I perceive that likeness, which includes the idea of God, by the same faculty which enables me to perceive myself. That is, when I turn my mind's eye upon myself, I understand that I am a thing which is incomplete and dependent on another and which aspires without limit to ever greater and better things; but I also understand at the same time that he on whom I depend has within him all those greater things, not just indefinitely and potentially but actually and infinitely, and hence that he is God. The whole force of the argument lies in this: I recognize that it would be impossible for me to exist with the kind of nature I have — that is, having within me the idea of God — were it not the case that God really existed. By 'God' I mean the very being the idea of whom is within me, that is, the possessor of all the perfections which I cannot grasp, but can somehow reach in my thought, who is subject to no defects whatsoever.' It is clear enough from this that he cannot be a deceiver, since it is manifest by the natural light that all fraud and deception depend on some defect.

그리고 사실, 신이 나를 창조하면서, 장인이 자신의 작품에 찍은 표지처럼,218 그 관념을 내 안에 넣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또한 이 표지가 작품 자체와 다른 어떤 것일 필요도 없다. 오히려 신이 나를 창조했다는 이 한 가지 사실로부터, 나는 어떤 의미에서 그의 형상과 모습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것, 그리고 나는 신의 관념이 포함되어 있는 이 모습을 내가 나 자신을 지각하는 것과 동일한 능력으로 지각한다는 것은 매우 믿을 만하다.219 다시 말해, 내가 정신의 눈을 나 자신에게 향하는 동안, 나는 내가 불완전한 것이고 다른 것에 의존하는 것이며, 또 더욱더 큰 것 혹은 더 좋은 것을 무한정하게 갈망하는 것임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220 나는 또한 내가 의존하는 그것은 이 더 큰 모든 것을 무한정하게 그리고 가능적으로만이 아니라 실제로 무한하게 221 자기 안에 갖고 있음을, 그래서 그것이 신임을 이해한다. 그리고 논증 전체의 힘은, 실제로 신이 또한 현존하지 않고서는, 내가 지금과 같은 본성으로 현존하는 것, 다시 말해 내가 내 안에 신의 관념을 가지면서 현존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에 있다.222 내가 말하는 신은 내 안에 그 관념이 있는 바로 그 신, 다시 말해, 내가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사유로 닿을 수 있는223 모든 완전성을 가진 신, 그리고 어떠한 결함에도 전혀 노출되지 않는 바로 그 신이다. 이로부터 충분히 명증한 것은, 신은 기만자일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사기와 기만은 224 어떤 결함에 달려 있다는 것이 자연의 빛에 의해 명백하기 때문이다.

 

But before examining this point more carefully and investigating other truths which may be derived from it, I should like to pause here and spend some time in the contemplation of God; to reflect on his attributes, and to gaze with wonder and adoration on the beauty of this immense light, so far as the eye of my darkened intellect can bear it. For just as we believe through faith that the supreme happiness of the next life consists solely in the contemplation of the divine majesty, so experience tells us that this same contemplation, albeit much less perfect, enables us to know the greatest joy of which we are capable in this life.

그러나 이것을 보다 세심히 조사하기 전에, 그리고 동시에 이로부터 거둘 수 있는 다른 진리들을 탐구하기 전에, 나는 기꺼이 여기에 잠시 머물러 신 자체를 관조하고, 그의 속성들을 내 안에서 곰곰이 헤아리며, 내 정신의 눈이 멀 정도로 광대한 이 빛의 아름다움을 직관하고, 경탄하고, 경배할 것이다. 오직 이 신적 위엄을 관조하는 것에 내세의 최고 행복이 있다고 우리가 신앙으로 믿듯이, 우리는 지금 또한 이 동일한 관조에서, 훨씬 덜 완전할지라도, 현세에서 가능한 최대의 쾌락을 누릴 수 있음을 경험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