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데카르트 (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이현복 옮김. 문예출판사.
René Descartes (1984).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translated by John Cottingham, Robert Stoothoff, Dugald Murdoch. Volume I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COND MEDITATION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and how it is better known than the body
So serious are the doubts into which I have been thrown as a result of yesterday's meditation that I can neither put them out of my mind nor see any way of resolving them. It feels as if I have fallen unexpectedly into a deep whirlpool which tumbles me around so that I can neither stand on the bottom nor swim up to the top. Nevertheless I will make an effort and once more attempt the same path which I started on yesterday. Anything which admits of the slightest doubt I will set aside just as if I had found it to be wholly false; and I will proceed in this way until I recognize something certain, or, if nothing else, until I at least recognize for certain that there is no certainty. Archimedes used to demand just one firm and immovable point in order to shift the entire earth; so I too can hope for great things if I manage to find just one thing, however slight, that is certain and unshakeable.
나는 어제의 성찰로 대단한 의심들 속에 던져져 더 이상 그것들을 잊을 수도 없고,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해소되어야 하는지를 알지도 못한다. 오히려 갑자기 깊은 소용돌이에 휘말린 것처럼 어지러워 바닥에 발을 댈 수도 없고 물 위로 빠져나올 수도 없다. 그렇지만 나는 나가려고 힘쓸 것이고, 어제 들어선 그 길을 다시 갈 것이다. 물론 조금이라도 의심을 용납하는69 모든 것은 내가 전적으로 거짓임을 발견한 경우와 똑같이 멀리하면서 말이다. 그리고 내가 확실한 어떤 것을 인식할 때까지, 혹은 다른 것이 없다면, 적어도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바로 이것을 확실한 것으로 인식할 때까지 앞으로 계속 갈 것이다. 아르키메데스는 지구 전체의 위치를 옮기기 위해 확고부동한 일점 외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았다. 나 또한 확실하고 흔들리지 않는 최소한의 어떤 것을 찾게 된다면 큰 것을 희망할 수 있을 것이다.
I will suppose then, that everything I see is spurious. I will believe that my memory tells me lies, and that none of the things that it reports ever happened. I have no senses. Body, shape, extension, movement and place are chimeras. So what remains true? Perhaps just the one fact that nothing is certain.
그러므로 나는 내가 보는 모든 것을 거짓이라고 가정하고, 거짓말하는 기억이 재현하는 것은 그 어떤 것도 현존하지 않았다고 믿는다. 나에게는 감각기관이 전혀 없다. 물체, 형태, 연장, 운동 및 장소는 환상들이다. 그러면 무엇이 참일 것인가? 아마도 이것 하나, 아무것도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리라.
Yet apart from everything I have just listed, how do I know that there is not something else which does not allow even the slightest occasion for doubt? Is there not a God, or whatever I may call him, who puts into me' the thoughts I am now having? But why do I think this, since I myself may perhaps be the author of these thoughts? In that case am not I, at least, something? But I have just said that I have no senses and no body. This is the sticking point: what follows from this? Am I not so bound up with a body and with senses that I cannot exist without them? But I have convinced myself that there is absolutely nothing in the world, no sky, no earth, no minds, no bodies. Does it now follow that I too do not exist?
No: if I convinced myself of something' then I certainly existed. But there is a deceiver of supreme power and cunning who is deliberately and constantly deceiving me. In that case I too undoubtedly exist, if he is deceiving me; and let him deceive me as much as he can, he will never bring it about that I am nothing so long as I think that I am something. So after considering everything very thoroughly, I must finally conclude that this proposition, I am, I exist, is necessarily true whenever it is put forward by me or conceived in my mind.
그러나 내가 방금 점검한, 의심할 최소한의 기회조차 없는 그 모든 것과 상이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는 어디로부터 아는가? 내 안에 이 사유들 자체를 집어넣는 어떤 신─혹은 내가 그 자를 어떤 이름으로 부르든 간에─이 존재한다는 말인가? 그러나 어쩌면 나 자신이 그 사유들의 작자일 수도 있는데, 나는 왜 그렇다고 여기는가? 그러면 나는 적어도 어떤 것이란 말인가? 그러나 나는 이미 내가 감각기관과 신체를 갖고 있다는 것을 부정했다. 그렇지만 나는 주춤한다, 왜냐하면 이로부터 무엇을? 내가 신체와 감각기관 없이 존재할 수 없을 만큼 그것들에 매여 있는 것은 아닌가? 그러나 나는 하늘도, 땅도, 정신도, 물체도, 세계 안에는 아무것도 없다고 나에게 설득했다. 그러면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역시 설득한 것이 아닌가? 아니 확실히, 내가 나에게 어떤 것을 설득했다면, 나는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누군지는 모르는, 계획적으로 나를 항상 속이는 최고로 유능하고 최고로 교활한 기만자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그가 나를 속인다면, 나 또한 존재한다는 것은 의심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가 할 수 있는 만큼 속인다고 해도, 그렇지만 내가 어떤 것이라고 사유하는 동안, 그는 결코 내가 무이게끔 만들지는 못할 것이다. 그래서 내가 모든 것을 충분하고도 남을 만큼 재어보게 되면, 나는 존재한다, 나는 현존한다는 이 명제는 마침내, 내가 그것을 발화할 때마다 심지어 정신에 떠올릴 때마다, 필연적으로 참이라고 결론지어야 한다.
But I do not yet hav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what this 'I' is, that now necessarily exists. So I must be on my guard against carelessly taking something else to be this 'I', and so making a mistake in the very item of knowledge that I maintain is the most certain and evident of all. I will therefore go back and meditate on what I originally believed myself to be, before I embarked on this present train of thought. I will then subtract anything capable of being weakened, even minimally, by the arguments now introduced, so that what is left at the end may be exactly and only what is certain and unshakeable.
그러나 나는 아직, 지금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그 나는 도대체 누구인지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80 그리고 이제부터 나는 자칫 다른 어떤 것을 신중치 못하게 나로 취하지 않도록, 그래서 모든 것 가운데 가장 확실하고 가장 명증하다고 주장하는 이 인식에서조차 길을 잃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이 때문에 나는 이제, 내가 이 사유들에 이르기 전 그 당시에 나는 도대체 무엇이라고 믿었는지를 다시 한번 성찰할 것이다. 그런 다음, 제시된 근거들에 의해 조금이라도 약화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그것에서 뺄 것이다. 그렇게 되면 결국에는 확실하고 흔들리지 않는 것만이 정확하게 남을 것이다.
What then did I formerly think I was? A man. But what is a man? Shall I say 'a rational animal'? No; for then I should have to inquire what an animal is, what rationality is, and in this way one question would lead me down the slope to other harder ones, and I do not now have the time to waste on subtleties of this kind. Instead I propose to concentrate on what came into my thoughts spontaneously and quite naturally whenever I used to consider what I was. Well, the first thought to come to mind was that I had a face, hands, arms and the whole mechanical structure of limbs which can be seen in a corpse, and which I called the body. The next thought was that I was nourished, that I moved about, and that I engaged in sense-perception and thinking; and these actions I attributed to the soul. But as to the nature of this soul, either I did not think about this or else I imagined it to be something tenuous, like a wind or fire or ether, which permeated my more solid parts. As to the body, however, I had no doubts about it, but thought I knew its nature distinctly. If I had tried to describe the mental conception I had of it, I would have expressed it as follows: by a body I understand whatever has a determinable shape and a definable location and can occupy a spas: in such a way as to exclude any other body; it can be perceived by touch, sight, hearing, taste or smell, and can be moved in various ways, not by itself but by whatever else comes into contact with it. For, according to my judgement, the power of self-movement, like the power of sensation or of thought, was quite foreign to the nature of a body; indeed, it was a source of wonder to me that certain bodies were found to contain faculties of this kind.
그러면 지금까지 나는 도대체 무엇이라고 여겼는가?82 물론 인간.83 그러나 인간은 무엇인가? 이성적 동물이라고 말할 것인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다음에는 동물이란 무엇이고, 이성적이란 무엇인지를 물어야 하고, 그래서 한 문제에서 더 많고 더 어려운 문제들로 빠져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지금 이런 종류의 정교한 것들84에 허비할 만큼 한가한 것도 아니다. 나는 오히려 여기서 나는 무엇인지를 고찰할 때마다 지금까지 내 사유에 저절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떠올랐던 것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85 처음에 떠올랐던 것은, 내가 얼굴, 손, 팔 및 이 지체들의 기계 전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것은 시체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나는 그것을 신체라는 이름으로 지칭하고 있었다. 그다음에 떠올랐던 것은, 내가 양분을 섭취한다는 것, 걷는다는 것, 감각한다는 것, 사유한다는 것으로, 나는 분명 이 활동들을 영혼과 연관시키고 있었다.86 그러나 나는 이 영혼이 무엇인지에 주의하지 않았거나, 아니면 그것을 나의 보다 거친 87 부분들 안에 퍼져 있을, 바람이나 불이나 공기와 비슷한, 내가 알지 못하는 미세한 것88이라고 상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물체에 대해서는 의심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본성을 판명하게 인식한다고 여기고 있었다. 혹시라도 내가 그것을 정신에 떠올랐던 대로 기술하려 했다면 이렇게 설명했을 것이다. 내가 이해하는 물체란, 어떤 형태로 한정될 수 있고, 어떤 장소로 경계가 정해질 수 있고, 공간을 점유해서 다른 모든 것을 그 공간에서 몰아낼 수 있으며, 촉각으로, 시각으로, 청각으로, 미각으로 혹은 후각으로 지각될 수 있고, 또한 여러 방식으로 움직이지만 실은 자기 스스로가 아니라 접촉되는 다른 것에 의해 어디론가 움직일 수 있는 모든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스스로 움직이는 힘을 가진다는 것은 감각하는 힘이나 사유하는 힘과 마찬가지로 물체의 본성에 결코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고, 게다가 그런 능력들이 어떤 물체들에서 발견된다는 것에 오히려 놀라고 있었기 때문이다.
But what shall I now say that I am, when I am supposing that there is some supremely powerful and, if it is permissible to say so, malicious deceiver, who is deliberately trying to trick me in every way he can? Can I now assert that I possess even the most insignificant of all the attributes which I have just said belong to the nature of a body? I scrutinize them, think about them, go over them again, but nothing suggests itself; it is tiresome and pointless to go through the list once more. But what about the attributes I assigned to the soul? Nutrition or movement? Since now I do not have a body, these are mere fabrications. Sense-perception? This surely does not occur without a body, and besides, when asleep I have appeared to perceive through the senses many things which I afterwards realized I did not perceive through the senses at all. Thinking? At last I have discovered it — thought; this alone is inseparable from me. I am, I exist — that is certain. But for how long? For as long as I am thinking. For it could be that were I totally to cease from thinking, I should totally cease to exist. At present I am not admitting anything except what is necessarily true. I am, then, in the strict sense only a thing that thinks; that is, I am a mind, or intelligence, or intellect, or reason —words whose meaning I have been ignorant of until now. But for all that I am a thing which is real and which truly exists. But what kind of a thing? As I have just said — a thinking thing.
그러나 극히 유능하고, 이렇게 말해도 된다면, 사악한 어떤 기만자가 온 힘을 다해 모든 것에서 나를 농락했다고 가정하는 지금은 어떠한가?89 방금 물체의 본성에 속한다고 말한 모든 것 가운데 내가 무언가를 조금이라도 갖고 있다고 단언할 수 있는가? 주의를 집중하고, 사유하고, 되돌아보지만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는다. 헛되이 같은 것을 반복하다가 지쳐버린다. 그러나 내가 영혼에 귀속시킨 것들 가운데, 양분을 섭취한다거나 걷는다는 것은 어떠한가? 나는 분명 지금 신체를 갖지 않으므로, 이것 또한 허구90와 다름없다. 감각한다? 이것도 물론 신체 없이는 행해지지 않으며, 꿈에서 감각한다고 보인 것이 나중에 알아보니 감각하지 않은 것이 아주 많았다. 사유한다? 이번에 나는 발견한다, 사유이다, 이것만이 나로부터 떼어내질 수 없다. 나는 존재한다, 나는 현존한다. 확실하다. 그러나 얼마 동안? 물론 내가 사유하는 동안.91 왜냐하면 어쩌면, 내가 모든 사유를 그친다면, 나는 그 즉시 존재하기를 완전히 멈추는 일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92 지금 나는 필연적으로 참인 것 외에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확히 나는 오직 사유하는 것이고, 이것은 정신, 영혼, 지성 혹은 이성이며,93 이것들은 그 의미가 이전에 나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말들이다. 그러나 나는 참된 것이고, 참으로 현존하는 것이다.94 그러나 어떠한 것? 나는 말했다, 사유하는 것.
What else am I? I will use my imagination. I am not that structure of limbs which is called a human body. I am not even some thin vapour which permeates the limbs — a wind, fire, air, breath, or whatever I depict in my imagination; for these are things which I have supposed to be nothing. Let this supposition stand; for all that I am still something. And yet may it not perhaps be the case that these very things which I am supposing to be nothing, because they are unknown to me, are in reality identical with the 'I' of which I am aware? I do not know, and for the moment I shall not argue the point, since I can make judgements only about things which are known to me. I know that I exist; the question is, what is this 'I' that I know? If the 'I' is understood strictly as we have been taking it, then it is quite certain that knowledge of it does not depend on things of whose existence I am as yet unaware; so it cannot z8 depend on any of the things which I invent in my imagination. And this very word 'invent' shows me my mistake. It would indeed be a case of fictitious invention if I used my imagination to establish that I was something or other; for imagining is simply contemplating the shape or image of a corporeal thing. Yet now I know for certain both that I exist and at the same time that all such images and, in general, everything relating to the nature of body, could be mere dreams . Once this point has been grasped, to say 'I will use my imagination to get to know more distinctly what I am' would seem to be as silly as saying 'I am now awake, and see some truth; but since my vision is not yet clear enough, I will deliberately fall asleep so that my dreams may provide a truer and clearer representation.' I thus realize that none of the things that the imagination enables me to grasp is at all relevant to this knowledge of myself which I possess, and that the mind must therefore be most carefully diverted from such things' if it is to perceive its own nature as distinctly as possible.
그 이외에 무엇인가? 상상해보자.96 나는 인체로 불리는 지체들로 조립된 것이 아니다. 나는 또한 이 지체들에 퍼져 있는 미세한 공기도 아니고, 바람도 불도 증기도 숨도 아니며, 내가 꾸며내는 그 무엇도 아니다. 나는 그것이 무라고 가정했기 때문이다. 이 입언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어떤 것이다.97 그러나 어쩌면, 내가 모르고 있기 때문에 내가 무라고 가정하는 바로 그것들이 사물의 진리 안에서 내가 알고 있는 그 나와 다르지 않은 일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나는 알지 못하고, 이것에 대해 나는 지금 논쟁하지 않는다. 나는 나에게 알려져 있는 것들에 대해서만 판단을 내릴 수 있다.98 나는 내가 현존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내가 알고 있는 이 나는 누구인지를 묻고 있다. 이렇게 정확하게 취해진 나에 대한 앎은 내가 그 현존에 대해 아직 알고 있지 않은 것들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 따라서 내가 상상력으로 지어내는 것들 중 어떤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은 극히 확실하다.99 그리고 내가 지어낸다라는 이 말은 나에게 내 오류를 알려준다. 왜냐하면 내가 무엇인지를 상상하는 경우, 나는 실제로 그것을 꾸며낼 것인데, 이는 상상한다는 것은 물체적 사물의 형태 혹은 상동을 주시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100 그런데 나는 지금, 내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동시에 그 모든 상들 그리고 일반적으로 물체적 본성과 관련된 것은 모두 그저 몽상101일 수 있음을 확실히 안다. 이런 것을 깨닫고 있으면서도, 내가 도대체 누구인지를 더욱 판명하게 알아보기 위해 상상해보자라고 말하는 것은 어리석어 보인다. 내가 지금 확실히 깨어 있고 참된 어떤 것을 보기는 하지만, 아직 충분히 명증하게 보는 것은 아니라서, 꿈이 나에게 그것을 보다 참되고 보다 명증하게 재현하도록 애써 잠을 청하자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나는, 내가 상상력의 도움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들 가운데 어떤 것도 나에 대해 갖고 있는 이 앎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정신이 자신의 본성을 최대한 판명하게 지각하기 위해서는 아주 주의 깊게 정신을 그것들로부터 멀어지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But what then am I? A thing that thinks. What is that? A thing that doubts, understands, affirms, denies, is willing, is unwilling, and also imagines and has sensory perceptions.
그러나 그러면 나는 무엇인가? 사유하는 것. 이것은 무엇인가? 의심하는 것, 이해하는 것, 긍정하는 것, 부정하는 것, 원하는 것, 원하지 않는 것, 또한 상상하는 것 그리고 감각하는 것이다.
This is a considerable list, if everything on it belongs to me. But does it? Is it not one and the same 'I' who is now doubting almost everything, who nonetheless understands some things, who affirms that this one thing is true, denies everything else, desires to know more, is unwilling to be deceived, imagines many things even involuntarily, and is aware of many things which apparently come from the senses? Are not all these things just as true as the fact that I exist, even if I am asleep all the time, and even if he who created me is doing all he can to deceive me? Which of all these activities is distinct from my thinking? Which of them can be said to be separate from myself? The fact that it is I who am doubting and understanding and willing is so evident that I see no way of making it any clearer. But it is also the case that the 'I' who imagines is the same 'I'. For even if, as I have supposed, none of the objects of imagination are real, the power of imagination is something which really exists and is part of my thinking. Lastly, it is also the same 'I' who has sensory perceptions, or is aware of bodily things as it were through the senses. For example, I am now seeing light, hearing a noise, feeling heat. But I am asleep, so all this is false. Yet I certainly seem to see, to hear, and to be warmed. This cannot be false; what is called 'having a sensory percep tion' is strictly just this, and in this restricted sense of the term it is simply thinking.
정말로 이것들은 적은 것이 아니다. 그 모든 것이 나에게 속한다면 말이다. 그러나 왜 속하지 않겠는가? 지금 거의 모든 것을 의심하고, 그렇지만 어떤 것은 이해하며, 이 한 가지만은 참이라고 긍정하고, 그 밖의 것은 부정하며, 더 많은 것을 알고자 욕망하고, 속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심지어 본의 아니게 많은 것을 상상하고, 또한 그것들을 감각에서 온 것으로서 감지하는102 바로 내가 아닌가? 내가 항상 자고 있다고 해도, 심지어 나를 창조한 자가 온 힘을 다해 나를 농락한다고 해도, 나는 존재한다는 것과 동등하게 참이 아닌 것이 그 가운데 무엇인가?103 나의 사유와 구별되는 것이 무엇인가? 나 자신과 분리된다 104고 말해질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왜냐하면 의심하고, 이해하고, 원하는 것이 나임은, 이것을 보다 명증하게 설명해주는 것은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을 만큼 명백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나는 또한 상상하는 바로 그 나다. 왜냐하면, 비록 어쩌면, 내가 가정했듯이, 상상된 어떤 것도 전혀 참이 아니라 해도, 상상하는 힘 자체는 실제로 현존하고, 내 사유의 부분을 이루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감각하는 그 나, 즉 물체적 사물들을 감각을 매개로 감지하는 그 나다. 분명히 나는 지금 빛을 보고, 소리를 듣고, 열을 느낀다. 이것들은 거짓인데, 나는 자고있기 때문이다.105 그러나 적어도 본다고, 듣는다고, 따듯해진다고 보이는 것, 이것은 거짓일 수 없다.106 이것이 본래 나에게 있어 감각하다로 불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이렇게 정확하게 취해질 경우, 사유하다와 다름없다.
From all this I am beginning to have a rather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 am. But it still appears — and I cannot stop thinking this — that the corporeal things of which images are formed in my thought, and which the senses investigate, are known with much more distinctness than this puzzling 'I' which cannot be pictured in the imagination. And yet it is surely surprising that I should have a more distinct grasp of things which I realize are doubtful, unknown and foreign to me, than I have of that which is true and known — my own self. But I see what it is: my mind enjoys wandering off and will not yet submit to being restrained within 3o the bounds of truth. Very well then; just this once let us give it a completely free rein, so that after a while, when it is time to tighten the reins, it may more readily submit to being curbed.
이것들로부터 나는 내가 도대체 누구인지를 어느 정도 더 잘 알기 시작한다. 그러나 여전히, 물체적 사물들, 즉 사유가 그것들의 상들을 형성하고, 감각들이 탐색하는 물체적 사물들이 상상력에 의해 포착되지 않는,108 내가 알지 못하는 그 나보다 훨씬 더 판명하게 알려지는 것으로 보이고, 또 그런 생각을 떨칠 수도 없다. 그렇지만 의심스러운 것, 알려지지 않은 것, 나와 무관한 것이라고 내가 알아차리는 것들이 참된 것, 알려진 것보다, 요컨대 나 자신보다 더 판명하게 파악된다는 것은 정말로 놀라운 일이다. 그러나 나는 그것이 왜 그런지 보고 있다. 내 정신은 방황하길 즐기고, 여전히 진리의 경계 안에 갇히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그렇다면 좋다. 정신의 고삐를 한 번 더 최대한 늦춰보자. 잠시 후 적당한 시점에 다시 고삐를 당기면 보다 쉽게 끌려올 것이다.
Let us consider the things which people commonly think they under stand most distinctly of all; that is, the bodies which we touch and see. I do not mean bodies in general — for general perceptions are apt to be somewhat more confused — but one particular body. Let us take, for example, this piece of wax. It has just been taken from the honeycomb.; it has not yet quite lost the taste of the honey; it retains some of the scent of tlfe flowers from which it was gathered; its colour, shape and size are plain to see; it is hard, cold and can be handled without difficulty; if you rap it with your knuckle it makes a sound. In short, it has everything which appears necessary to enable a body to be known as distinctly as possible. But even as I speak, I put the wax by the fire, and look: the residual taste is eliminated, the smell goes away, the colour changes, the shape is lost, the size increases; it becomes liquid and hot; you can hardly touch it, and if you strike it, it no longer makes a sound.. But does the same wax remain? It must be admitted that it does; no one denies it, no one thinks otherwise. So what was it in the wax that I understood with such distinctness? Evidently none of the features which I arrived at by means of the senses; for whatever came under taste, smell, sight, touch or hearing has now altered — yet the wax remains.
흔히들 모든 것 중에서 가장 판명하게 파악된다고 믿는 것을 고찰해보자. 물론 우리가 만지고, 우리가 보는 물체들이다. 물체들 일반이 아니라 특수한 물체이다. 일반적인 지각들은 상당히 더 혼동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 밀랍을 예로 삼아보자. 이것은 방금 벌집에서 꺼낸 것이다. 아직도 모든 꿀맛을 잃지 않고 있다. 본래 꽃의 향기를 어느 정도 간직하고 있다. 색, 형체, 크기도 뚜렷하다. 단단하고, 차갑고, 쉽게 만져지고, 손마디로 두드리면 소리를 낼 것이다. 요컨대, 어떤 물체가 가능한 한 판명하게 인식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보이는 모든 것이 이 밀랍에 있다. 그런데 보라. 말하는 동안 불에 가까이 가져가니 남은 맛은 사라지고, 향기는 날아가고, 색은 변하고, 형체는 없어지고, 크기는 늘어나고, 액체로 되고, 뜨거워지고, 거의 만질 수도 없고, 또 지금은 두드려도 소리를 내지 않는다. 여전히 동일한 밀랍이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인가? 그대로 남아 있음을 시인해야 한다. 아무도 부정하지 않고, 아무도 달리 여기지 않는다. 그러면 밀랍에서 그처럼 판명하게 파악된 것은 무엇이었나? 확실히 내가 감각으로 닿았던109 것 중에는 아무것도 없다. 미각, 후각, 시각, 촉각 또는 청각으로 감지한 것은 모두 지금 바뀌었고, 밀랍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Perhaps the answer lies in the thought which now comes to my mind; namely, the wax was not after all the sweetness of the honey, or the fragrance of the flowers, or the whiteness, or the shape, or the sound, but was rather a body which presented itself to me in these various forms a little while ago, but which now exhibits different ones. But what exactly 31 is it that I am now imagining? Let us concentrate, take away everything which does not belong to the wax, and see what is left: merely something extended, flexible and changeable. But what is meant here by 'flexible' and 'changeable'? Is it what I picture in my imagination: that this piece of wax is capable of changing from a round shape to a square shape, or from a square shape to a triangular shape? Not at all; for I can grasp that the wax is capable of countless changes of this kind, yet I am unable to run through this immeasurable number of changes in my imagination, from which it follows that it is not the faculty of imagination that gives me my grasp of the wax as flexible and changeable. And what is meant by `extended'? Is the extension of the wax also unknown? For it increases if the wax melts, increases again if it boils, and is greater still if the heat is increased. I would not be making a correct judgement about the nature of wax unless I believed it capable of being extended in many more different ways than I will ever encompass in my imagination. I must therefore admit that the nature of this piece of wax is in no way revealed by my imagination, but is perceived by the mind alone. (I am speaking of this particular piece of wax; the point is even clearer with regard to wax in general.) But what is this wax which is perceived by the mind alone?' It is of course the same wax which I see, which I touch, which I picture in my imagination, in short the same wax which I thought it to be from the start. And yet, and here is the point, the perception I have of it 2 is a case not of vision or touch or imagination — nor has it ever been, despite previous appearances — but of purely mental scrutiny; and this can be imperfect and confused, as it was before, or clear and distinct as it is now, depending on how carefully I concentrate on what the wax consists in.
아마도 그것은 내가 지금 사유하고 있는 것, 즉 밀랍 자체는 꿀의 그 단맛도, 꽃의 그 향기도, 그 흰 빛깔도, 형체도, 소리도 아니라, 조금 전의 이 양상들이 지금은 다른 양상들을 보이며 나에게 나타난 물체였다. 그러나 내가 이렇게 상상하는 그것은 정확하게 무엇인가? 주의하자. 그리고 밀랍에 속하지 않는 것들을 제거하면서110 남아 있는 것을 보자. 분명 연장되고, 유연하고, 가변적인 것 외에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유연한, 가변적인, 이것은 무엇인가?111 이것은 이 밀랍이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또는 사각형에서 삼각형으로 변할 수 있다고 내가 상상하는 것이 아닌가? 전혀 아니다. 왜냐하면 나는 밀랍이 이런 종류의 무수한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파악하지만, 내가 상상하면서 그 무수한 것들을 통람할 수도 없고, 따라서 이 파악은 상상능력에 의해 완수되지도 않기 때문이다.112 연장된, 이것은 무엇인가? 밀랍의 연장 자체 또한 알려지지 않은 것이 아닌가? 왜냐하면 밀랍이 녹으면 연장은 커지고, 끓으면 더 커지며, 열이 증가하면 다시 더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밀랍 또한 내가 일찍이 상상하면서 포괄했던 것보다 더 많은 다양성을 연장에 따라 받아들인다고 여기지 않고서는, 나는 밀랍이 무엇인지를 올바로 판단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이 밀랍이 무엇인지를 상상조차 못한다는 것, 오히려 정신에 의해서만 지각한다는 것을 용인하는 일만 남아 있다. 나는 이 특정한 밀랍을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밀랍 일반에 대해서는 더욱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신에 의해서가 아니면 지각되지 않는 이 밀랍은 도대체 어떠한 것인가? 물론 그것은 내가 보는 것, 내가 만지는 것이고, 내가 상상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며, 요컨대 내가 처음부터 그것이라고 여겼던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주의해야 하는 것은, 그 밀랍의 지각은 시각도 촉각도 상상력도 아니라는 것, 전에는 그렇게 보였다고 해도 결코 그렇지 않았다는 것, 오히려 그것은 정신만의 통찰이라는 것, 그리고 이 통찰은, 내가 이것을 구성하는 것들에 덜 주의하느냐 더 주의하느냐에 따라, 이전처럼 불완전하고 혼동될 수도 있고 지금처럼 명석하고 판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But as I reach this conclusion I am amazed at how prone to error my mind is. For although I am thinking about these matters within myself, silently and without speaking, nonetheless the actual words bring me up short, and I am almost tricked by ordinary ways of talking. We say that we see the wax itself, if it is there before us, not that we judge it to be there from its colour or shape; and this might lead me to conclude without more ado that knowledge of the wax comes from what the eye sees, and not from the scrutiny of the mind alone. But then if I look out of the window and see men crossing the square, as I just happen to have done, I normally say that I see the men themselves, just as I say that I see the wax. Yet do I see any more than hats and coats which could conceal automatons? I judge that they are men. And so something which I thought I was seeing with my eyes is in fact grasped solely by the faculty of judgement which is in my mind.
그러나 나는 그러는 동안 내 정신이 너무나 쉽게 오류로 기운다는 사실에 깜짝 놀란다. 비록 내가 내 안에서 이런 것들을 고요히 말없이 고찰한다고 해도, 나는 말 자체에 매여 있고, 말하는 관습에 거의 속아 넘어가기 때문이다.114 실로, 만일 밀랍이 옆에 있다면, 우리는 밀랍 그 자체를 보고 있다고 말하지, 색이나 형체 때문에 밀랍이 옆에 있다고 판단한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나는 바로, 밀랍은 눈의 봄에 의해 인식되고, 정신만의 통찰에 의해 인식되는 것은 아니다, 라고 결론지었을 것이다.115 만일 내가 지금 우연히 창문으로 거리를 지나다니는 사람들을 바라보지 않았더라면 말이다. 또한, 밀랍과 마찬가지로, 관습대로 그 사람들 자체를 본다고 말하는 그 사람들을 바라보지 않았더라면 말이다. 그런데 내가 그 안에 자동기계들이 숨어 있을 수도 있는 모자들과 옷들 외에 보는 것이 무엇인가? 그러나 나는 그것들이 사람들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처럼, 내가 눈으로 본다고 여겼던 것을 나는 정신 안에 있는 판단능력만으로 파악한다.
However, one who wants to achieve knowledge above the ordinary level should feel ashamed at having taken ordinary ways of talking as a basis for doubt. So let us proceed, and consider on which occasion my perception of the nature of the wax was more perfect and evident. Was it when I first looked at it, and believed I knew it by my external senses, or at least by what they call the 'common' sense' — that is, the power of imagination? Or is my knowledge more perfect now, after a more careful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the wax and of the means by which it is known? Any doubt on this issue would clearly be foolish; for what distinctness was there in my earlier perception? Was there anything in it which an animal could not possess? But when I distinguish the wax from its outward forms — take the clothes off, as it were, and consider it naked — then although my judgement may still contain errors, at least my perception now requires a human mind.
그러나 대중 이상으로 지혜롭기를 바라는 자가 대중이 고안한 말의 형식들에서 의심116을 찾아낸 것은 부끄러워할 일이다. 계속 앞으로 나아가자. 그리고 내가 밀랍이 무엇인지를 보다 완전하게 보다 명증하게 지각한 것이, 내가 처음 밀랍을 바라보고, 바로 그 외적 감각이나, 아니면 적어도 이른바 공통감각, 다시 말해 상상적인 힘으로117 인식한다고 믿었던 그때인지, 아니면 오히려 밀랍이 무엇이고 어떤 식으로 인식되는지를 보다 세심하게 탐구하고 난 지금인지에 주목해보자. 이에 대해 의심한다는 것은 확실히 어리석은 일이다. 첫 번째 지각에서 도대체 무엇이 판명했던가? 아무 동물이나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 있었던가? 그러나 내가 밀랍을 외적 형식들과 구별하고, 마치 옷을 벌거벗겨 놓은 듯이 고찰할 경우, 내 판단 안에 여전히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해도, 나는 실제로 인간 정신 없이는 밀랍을 그렇게 지각할 수 없다.
But what am I to say about this mind, or about myself? (So far, remember, I am not admitting that there is anything else in me except a mind.) What, I ask, is this 'I' which seems to perceive the wax so distinctly? Surely my awareness of my own self is not merely much truer and more certain than my awareness of the wax, but also much more distinct and evident. For if I judge that the wax exists from the fact that I see it, clearly this same fact entails much more evidently that I myself also exist. It is possible that what I see is not really the wax; it is possible that I do not even have eyes with which to see anything. But when I see, or think I see (I am not here distinguishing the two), it is simply not possible that I who am now thinking am not something. By the same token, if I judge that the wax exists from the fact that I touch it, the same result follows, namely that I exist. If I judge that it exists from the fact that I imagine it, or for any other reason, exactly the same thing follows. And the result that I have grasped in the case of the wax may be applied to everything else located outside me. Moreover, if my perception of the wax seemed more distinct'- after it was established not just by sight or touch but by many other considerations, it must be admitted that I now know myself even more distinctly. This is because every consideration what soever which contributes to my perception of the wax, or of any other body, cannot but establish even more effectively the nature of my own mind. But besides this, there is so much else in the mind itself which can serve to make my knowledge of it more distinct, that it scarcely seems worth going through the contributions made by considering bodily things.
그러나 나는 바로 이 정신에 대해, 즉 나 자신에 대해 무엇을 말할 것인가? 왜냐하면 나는 아직도 정신 외에 다른 어떤 것이 내 안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말하건대, 이 밀랍을 그토록 판명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보이는 나는 무엇인가? 나는 나 자신을 훨씬 더 참되게 훨씬 더 확실하게 인식할 뿐만 아니라, 훨씬 더 판명하고 더 명증하게 인식한다는 것이 아닌가? 왜냐하면 내가 밀랍을 본다는 사실로부터 밀랍이 현존한다고 판단한다면, 내가 밀랍을 본다는 사실로부터 확실히118 나 자신 또한 현존한다는 사실이 훨씬 더 명증하게 추론되기 때문이다. 실로, 내가 보는 것이 실제로 밀랍이 아닌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심지어 내가 어떤 것을 보는 눈들조차 갖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볼 때, 즉 내가 본다고 사유할 때(나는 지금 이것을 구별하지 않는다), 사유하는 나 자신이 어떤 것이 아닌 경우는 결코 있을 수 없다. 이와 유사한 이유로, 만일 내가 밀랍을 만진다는 사실로부터 밀랍이 현존한다고 판단한다면, 같은 것, 즉 나는 존재한다는 것이 다시 추론될 것이다. 만일 내가 밀랍을 상상한다는 사실로부터, 혹은 임의의 다른 원인으로부터 밀랍이 현존한다고 판단한다면, 완전히 같은 것, 즉, 나는 존재한다는 것이 다시 추론될 것이다. 그리고 내가 밀랍에 대해 깨닫는 바로 이것은 내 외부에 위치한 나머지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더 나아가, 만일 밀랍에 대한 지각이 시각이나 촉각만이 아니라 더 많은 원인들에 의해 나에게 알려진 다음 더욱 판명하게 보였다면, 나는 지금 나 자신을 그만큼 더 판명하게 인식한다는 것을 시인해야 한다. 왜냐하면 밀랍에 대한 지각이든 그 어떤 다른 물체에 대한 지각이든, 그 지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모든 근거들은 동시에 그리고 더욱 잘 내 정신의 본성을 입증하기 때문이다! 120 그러나 또한, 정신 안에는 정신에 대한 인식을 더욱 판명하게 해줄 수 있는 다른 근거들이 아주 많이 있기 때문에, 물체에서 정신의 본성으로 흘러오는121 근거들은 고려할 필요가 거의 없어 보인다.
I see that without any effort I have now finally got back to where I wanted. I now know that even bodies are not strictly perceived by the senses or the faculty of imagination but by the intellect alone, and that this perception derives not from their being touched or seen but from their being understood; and in view of this I know plainly that I can achieve an easier and more evident perception of my own mind than of anything else. But since the habit of holding on to old opinions cannot be set aside so quickly, I should like to stop here and meditate for some time on this new knowledge I have gained, so as to fix it more deeply in my memory.
그리고 보라. 마침내 나는 자연적으로 내가 원했던 곳으로 돌아왔다. 왜냐하면 나는 지금 물체 자체는 본래 감각들에 의해 혹은 상상능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성에 의해서만 지각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은 만져지거나 보여서가 아니라 이해되어서만 지각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나는 나에 의해 내 정신보다 더 쉽게 그리고 더 명증하게 지각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음을 명백하게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랜 의견의 습관이란 그리 빨리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 이 새로운 인식을 오랜 성찰로 내 기억에 더욱 깊이 새겨 넣기 위해 여기서 멈추는 것이 좋을 것이다.
'Continental > Early Mode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카르트 (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3) 제3성찰 (0) | 2025.02.08 |
---|---|
데이비드 커닝, 데카르트 철학의 메타적 성격 (0) | 2025.01.28 |
데카르트 (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1) 제1성찰 (0) | 2025.01.27 |
Does Locke’s account of Personal Identity Include Circularity? (0) | 2024.03.14 |
근대 철학에서의 무한성 사유-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비판 : 게오르그 칸토어의 초한수 이론을 중심으로 (0) | 201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