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99

권금상 (2021) 이주과정으로 (재)구성된 탈북여성 가족의 현재성

권금상. (2021). 이주과정으로 (재)구성된 탈북여성 가족의 현재성. 통일인문학, 86, 293-324.Kwon, Keum sang (2021). The Presentity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Re)Constructed through the Migration Process.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86, 293-324. 1. 들어가며북한과 맞닿은 중국으로 불법 입국한 탈 북여성의 탈북과정에서 75%가 인신매매를 당한다고 보고된다.5) 남 성권력이 중심이 되는 북중접경의 공간은 젠더의 문제를 양산하게 되는 것이다. 탈북과정에서 성이 착취되고 한국에 오기까지 탈북여 성들에게 이주공간은 ..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Hee Kyung Kim and Soo-Sung Oh (2010). The MMPI-2 Profile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1), 1-20.젊은 여성의 입국 비율이 높은 원인으로는 제3국에서의 은 닉이 남성에 비해 쉽고, 취업할 수 있는 기회 그림1. 하나원 입소성별현황 그림2. 하나원 입소연령별현황 가 많은 점, 중국 내에 젊은 여성에 대한 수 요가 존재한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김태 현, 노치영, 2003). [2]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입국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정신건강이나 심..

권금상 (2018) 성 서비스 영역에 참여한 탈북여성의 경합과 생존전략

권금상. (2018). 성 서비스 영역에 참여한 탈북여성의 경합과 생존전략. 현대북한연구, 21(3), 162-203.Kwon,Keum Sang (2018). Competition and Survival Strategy of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ing in Sex Service Area. Review of North Korean Studies, 21(3), 162-203. 1. 들어가며여성들이 성매매를 직업으로 선택하게 되는 일반적 이유는 가난한 여성들이 성차별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최저임금조차도 보장되지 않는 직업 밖에는 선택할 여지가 없었기 때문이다.1) 탈북여성들의 성 서비 스 영역으로 활동하게 되는 이유 역시 가난이라는 근본적인 토대 문제 에서 출발할 것으로 ..

김재엽, 김희진, 조영시, Gantuya, B. (2013) 탈북여성의 유흥업소 및 성매매 유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김재엽, 김희진, 조영시 and Gantuya, B.. (2013). 탈북여성의 유흥업소 및 성매매 유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사회과학연구, 21(1), 76-112.Jae Yop Kim, Hee Jin Kim, Young Si Jo, and Gantuya B. (2013).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the Influx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to Adult Entertainment Businesses and Prostitution, Social Science Studies 21(1), 76-112.1. 문제의식최근 탈북여성의 상당수가 유흥업소를 전전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성매매로 유입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지은 (2023)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이지은. (2023).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여성문학연구, 60, 297-328.Lee, Jieun. (2023). The ‘Americanization’ devices of th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ext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60, 297-328. 1. 탈북 의제의 국제화와 여성탈북기가 놓인 자리2010년대 중반부터 탈북자의 ‘수기(memoir)’ 형태를 띤 텍스트가 영어권에서 본격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고, 이들은 빠르게 세계 주요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탈북기’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북한이탈주민의 문제가 더 이상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는 의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적 전향을 의미하 는 ‘귀..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황현주 (2013)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and 황현주. (2013).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44(2), 33-56.Kim, Jae Yop, Choi, Kwon Ho, Chae, Ji Hoon, and Hwang, Hyun Joo (2013).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4(2), 33-56. 탈북여성의 자살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여성가족부의 2012년 조사: 45.7%의 조사대상자가 최근 1년 이내에 자살 생각 내지 행동을 함.탈북자 전..

손명아, 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손명아 and 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0(1), 57-81.Son, Myung-ah and Kim, Seokho (2017) Family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Focus on the Phenomenon of Chain Migration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40(1), 57-81. Ⅰ. 문제제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은 개인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개인이 북한 탈출을 감행하고 남한에 도착한 후 적응 과정에서 겪은 경험들을 분석하여 이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

김혜숙 (2012) 여성주의 성찰성과 치유의 인문학: 탈북여성문제를 중심으로

김혜숙. (2012). 여성주의 성찰성과 치유의 인문학: 탈북여성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18, 69-96.Heisook Kim (2012). A Feminist Interpretation of Healing Humanities, Korean Feminist Philosophy, 18, 69-96. 조명숙 교감은 북한인들을 규정하는 3종류의 문화를 언급하였다. 첫번째는 가부장 유교문화이다. 어버이 수령을 정점으로 하는 정치적 위계를 확립시키기 위해 유교 가부장 문화는 북한 사회 안에서 매우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군사문화이다. 군사문화는 매우 직설적이고 극단적 화법을 북한 화법으로 정착시켰으며, 죽기 아니면 살기 식의 생존양식을 만들어냈다. 군사 문화 안에서 사람들은 관용..

장명선, 김선욱 (2017)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 법제의 쟁점과 과제-젠더적 관점을 중심으로-

장명선 and 김선욱. (2017).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 법제의 쟁점과 과제-젠더적 관점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29(3), 379-422.Myung Sun Jang and Sun Uk Kim (2017) Issues and Tasks in legislation of Supporting North Korean Refugees for Settlement: Focused on the point of Gender Issues. Kookmin Law Review, 29(3), 379-422.최근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생활 실태조사13) 남북하나재단, 2015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2015 에 의하면 이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5.6%, 고용율은 50.6%로 일반 여성국민의 경제활동율 52.1%, 고..

김희경 (2012)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김희경. (2012).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4), 535-558.Hee Kyung Kim (2012).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South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4), 535-558. 1. 양육행동양육 행동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나타내는 전반적이고 보편적인 행동으로서, 자녀의 정서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