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3

하이데거의 반시대적 고찰 : 니힐리즘과 존재의 빛남

2018-1 종교철학 하이데거의 반시대적 고찰 : 니힐리즘과 존재의 빛남 위험이 있는 곳에는 그러나 구원의 힘도 함께 자라네.[각주:1] - 프리디리히 횔덜린 이 글은 하이데거라는 사상가의 종말론적(그리고 구원론적) 사유를 재조명하기 위해 씌어졌다. 그러나 어떤 사상가의 특정한 면모를 드러내고자 할 때에는, 그 면모가 사상가의 사상(Gedanken)에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그 핵심을 담지하고 있는가를 먼저 고려해보는 것이 옳다. 우리가 다루려는 주제가 단순한 흥미에서 비롯된 지엽적이고 부차적인 것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선 말이다. 그러므로 이 글의 목표는 종말과 구원의 사유가 하이데거 사상 전체의 핵심이자 그가 평생 동안 대결하고자 했던 사태와 맞닿아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하이데거는 그 스스로..

근대 철학에서의 무한성 사유-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비판 : 게오르그 칸토어의 초한수 이론을 중심으로

2018-1 서양근세철학 근대 철학에서의 무한성 사유-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비판 : 게오르그 칸토어의 초한수 이론을 중심으로 【주제분류】 근대철학, 합리론, 집합론 【주요어】 무한성, 초한수, 칸토어, 데카르트 【요약문】 무한은 철학과 수학의 역사에서 오랜 시간동안 가장 난해하면서도 신비로운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고대에서부터 엘레아 학파의 제논이 제시했던 제논의 역설은 무한의 개념을 활용한 악명 높은 난제였으며, 근대 철학을 이끌었던 (흔히 합리론자로 분류되는) 세 명의 철학자,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역시 그들의 사유에 있어 무한을 핵심적인 개념으로 생각했다. 데카르트는 그의 신 존재 증명에 있어 무한의 개념을 결정적으로 활용하였고, 스피노자의 존재론에서도 무한은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

개는 희망할 수 있는가? -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 생각함의 선험적 틀에 관하여

2018-1 인공지능과 마음 개는 희망할 수 있는가? -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 생각함의 선험적 틀에 관하여 【주제분류】 심리철학, 언어철학, 비트겐슈타인 【주요어】 인공지능, 생각함, 의도함, 언어 【요약문】 기계(인공지능)와 인간은 더 이상 차이가 없는가? 오늘날 인공지능의 끝없는 발전을 보고 있으면 우리는 더 이상 인간과 기계가 차별화되는 영역은 없다고 말해야만 할 것 같다. 실제로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문학, 번역, 작곡, 바둑 등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계는 인간을 거의 따라잡았거나, 인간보다 우월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역할은 과학에게 있지만, 과학이 인공지능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할지라도 여전히 위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