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Social & Political Phil 67

성정현 (2016)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성정현. (2016).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한국가족복지학, 53, 79-115.Sung, JungHyun (2016). The Ethnicized Stigma against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ir Community Building and Coping Strategies toward it in Contemporary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3, 79-115. 1. 서론이런 가운데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서, 1990년대 후반부터 같은 민족 이지만 분단으로 인해 서로 단절된 채 살아온..

손지혜, 배고은, 한기덕, 윤인진 (2021)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지혜, 배고은, 한기덕 and 윤인진. (2021).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일과 평화, 13(2), 375-432.Son, Jihye, Bae, Go-Eun, Han, Ki-Duk, and Yoon, In-Jin (202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Health Care Status of North Korean Migrant Women in Menopause.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13(2), 375-432.1. 서론탈북민의 80% 가 여성인데 이들의 고용율은 탈북 남성 고용률의 70%에 불과했다. 탈북 여성의 낮은 고용률은 무엇보다 육아의 부담과 건강문제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3) 탈..

강동완 (2018) 중국 거주 탈북여성의 탈북동기 사례 분석: 그녀들은 왜 중국에 가게 되었을까?

강동완. (2018). 중국 거주 탈북여성의 탈북동기 사례 분석: 그녀들은 왜 중국에 가게 되었을까?. 통일문제연구, 30(1), 171-214.Kang, Dong Wan (2018). Actual Life of and Support Plans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China.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30(1), 171-214. 본 연구는 중국 현지에 거주하는 탈북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본 조사는 질문 문항의 적절성 과 양호도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2016년 8월 국내 거주중인 여성 탈북민 중 중국거주 경험자 3명을 대상으로 사전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

임순희 (2022) 북한의 여성권리 보장법제 연구

임순희. "북한의 여성권리 보장법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22. 서울 Lim, soon-hee. (2022).  A Study on the Legislative Protection of Women's Rights in North Korea : Analysis based on the reporting under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CEDAW).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 역시 초기 정권 수립 과정에서 반제반봉건의 구호 아래 기존의 ..

박정란 (2009)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박정란. (2009).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한민족문화연구, 28, 97-135. Park JungRan. (2009).  Female Saeteomins' Childcare and Work - The Current State and Support Measures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28, 97-135.  1. 서론여성 새터민들의 경우, 탈북 후 제3국에서 장기간 결혼, 출산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경우, 경력 단절과 소모가 장기화되면서 남한에 입국해 노동시장 진입에 더욱 취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들이 부모나 친지 등의 가족관계를 통해 자녀 양육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여성 새터민들은 단독 입국 ..

강진웅 (2013)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강진웅. (2013).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아세아연구, 56(2), 269-302.Kang, Jin Woong (2013). North Korean Women in the Diaspora: Subaltern Women’s Lives and Identity Politics.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56(2), 269-302. I. 들어가며본 논문은 북한 여성 주체를 지배 권력과 담론에 의한 희생자로 보는 타자 화된 시선을 극복하고자 하며 하위주체로서 북한 여성들이 젠더화된 사회구조 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으면서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체성의 정치를 실천하는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서도 논의되었듯이, 젠..

강재희 (2022)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강재희. (2022).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한국유아교육연구, 24(3), 221-244.Kang Jai Hee (2022). North Korean women defectors's experiences of reari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JECER), 24(3), 221-244. 북한에서 여성의 자녀양육 특징을 요약하면 여성들은 자녀와 함께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고 충분한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해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 자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훈육 관련해서 자녀가 버릇없을 때는 매질을 해서라도 야단을 ..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5(1), 155-173.Kim, Hee Kyung (2010). The relations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1), 155-173.자아방어기제(ego defense mechanism)는 정신역동적 입장에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주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불안이나 공격성 같은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 내적 갈등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이러한 욕구나 본능, 희망, 충동과 외부 현실 사이에서 생길 수..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 병리가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최빛내 and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Choi, Bit-nae and Kim, Hee Kyung. (2011).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ersonality Patholog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Psychological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1), 195-21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표적인 외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강제 북송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고자 하였다. 이..

최재헌, 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최재헌, 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1), 167-184.Jae-Heon Choi, & Sook-jin Kim (2016). Geograph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ern China - Its Migration and Spatial Diffusi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1), 167-184.  1. 서론중국 내에서도 조선족의 위상에 대해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① 먼저 조선족은 디아스포라가 아니며 100% 조선족일 뿐으로 한반도와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초국적 이주민(t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