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Social & Political Phil 67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황현주 (2013)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and 황현주. (2013).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44(2), 33-56.Kim, Jae Yop, Choi, Kwon Ho, Chae, Ji Hoon, and Hwang, Hyun Joo (2013).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4(2), 33-56. 탈북여성의 자살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여성가족부의 2012년 조사: 45.7%의 조사대상자가 최근 1년 이내에 자살 생각 내지 행동을 함.탈북자 전..

손명아, 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손명아 and 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0(1), 57-81.Son, Myung-ah and Kim, Seokho (2017) Family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Focus on the Phenomenon of Chain Migration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40(1), 57-81. Ⅰ. 문제제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은 개인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개인이 북한 탈출을 감행하고 남한에 도착한 후 적응 과정에서 겪은 경험들을 분석하여 이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

김혜숙 (2012) 여성주의 성찰성과 치유의 인문학: 탈북여성문제를 중심으로

김혜숙. (2012). 여성주의 성찰성과 치유의 인문학: 탈북여성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18, 69-96.Heisook Kim (2012). A Feminist Interpretation of Healing Humanities, Korean Feminist Philosophy, 18, 69-96. 조명숙 교감은 북한인들을 규정하는 3종류의 문화를 언급하였다. 첫번째는 가부장 유교문화이다. 어버이 수령을 정점으로 하는 정치적 위계를 확립시키기 위해 유교 가부장 문화는 북한 사회 안에서 매우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군사문화이다. 군사문화는 매우 직설적이고 극단적 화법을 북한 화법으로 정착시켰으며, 죽기 아니면 살기 식의 생존양식을 만들어냈다. 군사 문화 안에서 사람들은 관용..

장명선, 김선욱 (2017)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 법제의 쟁점과 과제-젠더적 관점을 중심으로-

장명선 and 김선욱. (2017).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 법제의 쟁점과 과제-젠더적 관점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29(3), 379-422.Myung Sun Jang and Sun Uk Kim (2017) Issues and Tasks in legislation of Supporting North Korean Refugees for Settlement: Focused on the point of Gender Issues. Kookmin Law Review, 29(3), 379-422.최근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생활 실태조사13) 남북하나재단, 2015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2015 에 의하면 이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5.6%, 고용율은 50.6%로 일반 여성국민의 경제활동율 52.1%, 고..

김희경 (2012)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김희경. (2012).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4), 535-558.Hee Kyung Kim (2012).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South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4), 535-558. 1. 양육행동양육 행동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나타내는 전반적이고 보편적인 행동으로서, 자녀의 정서 발달..

신하영, 이정인 (2023)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재구성: 젠더관점을 중심으로

신하영 and 이정인. (2023).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재구성: 젠더관점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17(2), 91-109.Ha-Young Shin and Jeong-In Lee (2023).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Support System: Focusing on Gender Perspectives. The Journal of Saramdaum Education, 17(2), 91-109. 1. 시민성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여성의 개념 재구성북한이탈여성은 다문화정책에서 소외된 존재이다. 북한이탈여성은 한국의 다문화정책, 이 민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통일부 소관의 법 적용 대상이기 때문이다. 국내 이주민 및 이민정 책의 맹점으로 가장 많이 지적되는 문제점으로 ..

심영희 (2006) 북한여성의 인권: 실태와 요인

심영희. (2006). 북한여성의 인권: 실태와 요인. 아시아여성연구, 45(2), 148-194. Young-Hee Shim (2006). Human Rights of Women in North Korea: Present State and Factors. The Journal of Asian Women, 45(2), 148-194.  1. 서론첫째, 식량난 이후 북한여성의 인권의 상황은 어떠한가? 그들은 여성이 기 때문에 차별을 받고 있는가? 여성은 식량난의 가장 큰 피해자라고 전 제되고, 여성의 인권은 북한 인권문제의 핵심에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 련해서 필자는 여성인권의 네 영역을 지적해내고, 이 각각의 네 영역에 서 여성인권의 상황을 검토해보겠다.둘째, 여성이 식량난의 가장 큰 피해자라면 이에 ..

박소연 (2017) 북한 이탈여성의 생애사 재구성: 주체사상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사상의 미망으로

박소연. (2017). 북한 이탈여성의 생애사 재구성 : 주체사상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사상의 미망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2), 5-30.Park, So Youn (2017). Reconstruction of Life Histor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Exodus from Self-Reliance(Juche) Ideology to the Illusion of Capitalism.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11(2), 5-30. 1. 서론북한이탈주민의 탈북은 2000년 이전에는 배고픔을 견디지 못한 북한 주민들이 생존을 위하 여 인접국인 중국이나 제3국을 경유하여 다시 한국으로 입국..

김화순 (2019)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김화순 (2019).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이화젠더법학, 11(3), 67 - 106.Wha-Soon Kim (2019).  Awareness and Task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of the Divided Regime,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11(3), 67 - 106.박근혜 정권 집권 이후 탈북인 수는 2011년 2,706명에서 2014년 1,296명으 로 절반 이하로 급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탈북자를 선거나 정권위기 상 황에서 김정은 체제의 불안정성을 증명하는 증거로 적극 활용하려고 시도하였 다. 2016년 4월 총선직전 북한음식점 종업원 집단탈북 사건이..

임인숙, 윤인진 (2008)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임인숙 and 윤인진. (2008).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가족과 문화, 20(3), 99-126.Lim, In-Sook and Yoon, In-Jin (2008) The Change and Continuity in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Power Relation among North Korean Migrants, Family and Culture, 20(3), 99-126. 1. 들어가는 글이러한 북한의 현실은 민주주의 체제 아래서 상대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개선되어 온 남한 사회와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김혜영의 연구(2000)에 의하면, 북한 여 성들은 남한 여성들보다 희생과 순종을 여성의 미덕으로 삼는 전통적인 가치를 더 강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