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Social & Political Phil 67

강동완 (2019) 국내 입국 탈북여성의 경계짓기: ‘직행’과 ‘중국행’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강동완. (2019). 국내 입국 탈북여성의 경계짓기: ‘직행’과 ‘중국행’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2(1), 1-26.Kang Dong Wan (2019). Setting a boundary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22(1), 1-26.대표적으로 국내 입국 탈북민 가운데 70% 이상이 여성이다. 그들 사이 에서 북한을 탈북 하여 중국에 거주하지 않고 한국에 입국한 경우를 ‘직행(직통)’이 라 부른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 일정기간 거주하다 입국한 여성은 ‘중국행’이라 한 다. 탈북과정의 차이에 따라 탈북여성의 정체성이 서로 다르..

한인영, 강향숙, 백형의 (2013) 북한이탈여성들의 성적 외상 경험

한인영, 강향숙, 백형의. (2013). 북한이탈여성들의 성적 외상 경험. 사회과학연구, 29(3), 187-207.Han, In-young, Kang, Hyang-sook, and Baik, Hyung-ui. (2013). Sexual Trauma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9(3), 187-207. 이렇게 북한을 탈출하는 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북한에서는 여성들에게 식량을 구하는 책임이 있으며 인신매매조직이 탈북과정에깊이 개입(문 숙재등,2000:141)되어 있고, 시장활동 및 국외거주 중국인과의 사실혼 관계 등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의 국경이동이 좀더 수월(강차연,2005:63)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정신건강 예측요인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Younga Cho, Yeunhee Kim, and Shieun You (2009). Predictors of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over 7 yea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1), 329-348.우선, 우울감Depression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탈북 주민의 우울 수준을 연구한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결..

박성정, 오은진 (2012)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박성정 and 오은진. (2012).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31(4), 135-152.Sung-Jung Park*․Eun-Jin Oh. (2012)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policy need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4), 135-152. 북한이탈여성들은 탈북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어 정서적,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여성들의 탈북 사유는 보다 나은 삶의 기회(63.7%)를 찾고 경제적 어려움(59...

이기영, 백정원, 김민경 (2014)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 - 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기영, 백정원 and 김민경. (2014).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 - 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 민족연구, 60, 4-23.Lee Ki Young, Baik Jeong Won, and Kim Min Kyoung. (2014).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in Childcare and Work - Focusing on women with children born in 3rd country -. Minjok Yeonku, 60, 4-23. 1. 서론이들의 일·가정 양립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북한의 경제위기 이후 교육 상황이 열악해지면서 생계를 위해 교육을 포기하거나 제대로 받지 않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공간과 사회, 22(2), 114-158.Sung Kyung Kim. (2012). Experiencing North Korea-China Borderland and Routes of Mobility: ‘Border Crossing’ of North Korean border-crossers and the Expanding of Transnational Ethnic Spaces. Space and Environment. 22(2), 114-158. 1. 들어가며중국과 북한은 북·중 국경을 넘는 북한주민의 이동이 단순 경제적 목적으로 한 불법월경으로 이해하여 당사국간의 해결을 주장 한다면, 미..

김경연, 황국명 (2022)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김경연 and 황국명. (2022).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코기토, 97, 89-128. Kim, Kyung-yeon and Hwang, Guk-myung. (2022) Testifying at the Boundary - Politics of Confession ‘Different’ From Self-Narrativ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Cogito, 97, 89-128.   2. 탈북 여성들은 ‘이야기’할 수 있는가―고백과 파레시아 사이‘탈북’이란 주지하듯이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기근과 사회주의권의 붕괴라는 사태 속에서 북한 주민들이 자국을 떠나 제3국이나 남 한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지시하며, 정치적 월경보다는..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이미지 재현 연구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이미지 재현 연구. 여성연구, 97(2), 232-259. Sookyung Kim (2018).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mage in the South Korean Marriage Market. The Women’s Studies. 97(2), 232-259.   Ⅰ. 들어가며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탈북은 매우 희귀한 현상이었다. 1983년 북한 군 이웅평 상위(대위)가 미그(MIG)기를 몰고 남하했을 때 ‘귀순용사’(歸順勇 士)로 추앙받으며 보상금 및 정착금의 명목으로 13억 원이라는 엄청난 액수의 금전적 지원을 받았다. 이는 당시 남한 노동자 평균 연봉의 480배에 달하는 액수였다...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5(2), 173-205.Hong, Seungah. (2013).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Their Settlement Tasks: From the Family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5(2), 173-205.  I. 서론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응 문제는 탈북 과정에서부터 정착생활까지 남성과는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문제로 접근되어야 한다. 우선 이들은 정착의 과정에서도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로 인하 여 곤란을 겪고 있으며, 남한사회와 다른 북한사회의 부부관계를 유..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북한학보, 41(2), 61-107.Shim, Yangsup (2016). The Deterrent Factors for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A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Modes of Incorporation of Immigrants, Journal of North Korean Studies, 41(2), 61-107. 1. 서론: 많은 숫자, 낮은 취업률 한국에 입국하여 살고 있는 탈북이주민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은 반면에 탈북여성의 취업률은 탈북남성의 취업률에 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