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30 10

이화진 (2011) 탈북여성의 이성 관계를 통해본 인권침해 구조와 대응: 탈북 및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진. (2011). 탈북여성의 이성 관계를 통해본 인권침해 구조와 대응: 탈북 및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19(2), 367-404.Lee, Hwa Jin. (2011). The Structural Abuses of Human Rights and Coping Methods that Women Defectors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in Emigrant Experience. Peace Studies, 19(2), 367-404. 1. 들어가는 말그동안 탈북여성의 인권에 대한 문제제기는 그 목적이 탈북여성들의 인간적 권리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주로 북한을 비판하기 위한 의도로 거론되는 경우가 많았다. ..

박재인 (2021) 탈북여성의 기억으로 본 남북의 젠더의식 비교

박재인. (2021). 탈북여성의 기억으로 본 남북의 젠더의식 비교. 통일인문학, 86, 43-88.Park, Jai In. (2021). A comparison of the gender consciousness of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memories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86, 43-88.  1. 서론고난의 행군 시기의 탈북은 기아와 극빈에서 탈피하기 위한 생존의 목적이었으며, 대체적으로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에 이루어 졌다. 반면 장마당세대의 탈북은 새로운 삶을 위한 이주가 목적이며, 2010년대에 이루어졌다. 이들이 경험한..

김소륜 (2017) 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김소륜. (2017). 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여성문학연구, 41, 109-143. Kim, So-ryun. (2017). Three gazes towar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 A study on the literary imagerie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the Korean contemporary novel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41, 109-143.  크리스테바는 문학이란 저자와 독자로 하여금 그들의 영혼을 고통스 럽게 하는 어떤 질병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한다 문 학을 통해 우리는 고통스러..

성정현 (2016)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성정현. (2016).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한국가족복지학, 53, 79-115.Sung, JungHyun (2016). The Ethnicized Stigma against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ir Community Building and Coping Strategies toward it in Contemporary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3, 79-115. 1. 서론이런 가운데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서, 1990년대 후반부터 같은 민족 이지만 분단으로 인해 서로 단절된 채 살아온..

손지혜, 배고은, 한기덕, 윤인진 (2021)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지혜, 배고은, 한기덕 and 윤인진. (2021).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일과 평화, 13(2), 375-432.Son, Jihye, Bae, Go-Eun, Han, Ki-Duk, and Yoon, In-Jin (202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Health Care Status of North Korean Migrant Women in Menopause.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13(2), 375-432.1. 서론탈북민의 80% 가 여성인데 이들의 고용율은 탈북 남성 고용률의 70%에 불과했다. 탈북 여성의 낮은 고용률은 무엇보다 육아의 부담과 건강문제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3) 탈..

강동완 (2018) 중국 거주 탈북여성의 탈북동기 사례 분석: 그녀들은 왜 중국에 가게 되었을까?

강동완. (2018). 중국 거주 탈북여성의 탈북동기 사례 분석: 그녀들은 왜 중국에 가게 되었을까?. 통일문제연구, 30(1), 171-214.Kang, Dong Wan (2018). Actual Life of and Support Plans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China.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30(1), 171-214. 본 연구는 중국 현지에 거주하는 탈북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본 조사는 질문 문항의 적절성 과 양호도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2016년 8월 국내 거주중인 여성 탈북민 중 중국거주 경험자 3명을 대상으로 사전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

임순희 (2022) 북한의 여성권리 보장법제 연구

임순희. "북한의 여성권리 보장법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22. 서울 Lim, soon-hee. (2022).  A Study on the Legislative Protection of Women's Rights in North Korea : Analysis based on the reporting under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CEDAW).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 역시 초기 정권 수립 과정에서 반제반봉건의 구호 아래 기존의 ..

박정란 (2009)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박정란. (2009).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한민족문화연구, 28, 97-135. Park JungRan. (2009).  Female Saeteomins' Childcare and Work - The Current State and Support Measures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28, 97-135.  1. 서론여성 새터민들의 경우, 탈북 후 제3국에서 장기간 결혼, 출산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경우, 경력 단절과 소모가 장기화되면서 남한에 입국해 노동시장 진입에 더욱 취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들이 부모나 친지 등의 가족관계를 통해 자녀 양육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여성 새터민들은 단독 입국 ..

강진웅 (2013)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강진웅. (2013).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아세아연구, 56(2), 269-302.Kang, Jin Woong (2013). North Korean Women in the Diaspora: Subaltern Women’s Lives and Identity Politics.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56(2), 269-302. I. 들어가며본 논문은 북한 여성 주체를 지배 권력과 담론에 의한 희생자로 보는 타자 화된 시선을 극복하고자 하며 하위주체로서 북한 여성들이 젠더화된 사회구조 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으면서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체성의 정치를 실천하는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서도 논의되었듯이, 젠..

강재희 (2022)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강재희. (2022).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한국유아교육연구, 24(3), 221-244.Kang Jai Hee (2022). North Korean women defectors's experiences of reari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JECER), 24(3), 221-244. 북한에서 여성의 자녀양육 특징을 요약하면 여성들은 자녀와 함께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고 충분한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해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 자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훈육 관련해서 자녀가 버릇없을 때는 매질을 해서라도 야단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