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4 5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이미지 재현 연구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이미지 재현 연구. 여성연구, 97(2), 232-259. Sookyung Kim (2018).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mage in the South Korean Marriage Market. The Women’s Studies. 97(2), 232-259.   Ⅰ. 들어가며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탈북은 매우 희귀한 현상이었다. 1983년 북한 군 이웅평 상위(대위)가 미그(MIG)기를 몰고 남하했을 때 ‘귀순용사’(歸順勇 士)로 추앙받으며 보상금 및 정착금의 명목으로 13억 원이라는 엄청난 액수의 금전적 지원을 받았다. 이는 당시 남한 노동자 평균 연봉의 480배에 달하는 액수였다...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5(2), 173-205.Hong, Seungah. (2013).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Their Settlement Tasks: From the Family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5(2), 173-205.  I. 서론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응 문제는 탈북 과정에서부터 정착생활까지 남성과는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문제로 접근되어야 한다. 우선 이들은 정착의 과정에서도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로 인하 여 곤란을 겪고 있으며, 남한사회와 다른 북한사회의 부부관계를 유..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북한학보, 41(2), 61-107.Shim, Yangsup (2016). The Deterrent Factors for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A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Modes of Incorporation of Immigrants, Journal of North Korean Studies, 41(2), 61-107. 1. 서론: 많은 숫자, 낮은 취업률 한국에 입국하여 살고 있는 탈북이주민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은 반면에 탈북여성의 취업률은 탈북남성의 취업률에 비해 ..

강동완 (2017) 중국 현지 거주 탈북여성의 생활 실태 및 지원 방안

강동완. (2017). 중국 현지 거주 탈북여성의 생활 실태 및 지원 방안. 북한학보, 42(1), 155-197.Kang, Dong Wan (2017). Actual Life of and Support Plans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China,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42(1), 155-197.1. 서론이 글은 중국 거주(체류) 탈북여성들의 현지 생활실태를 다룬 글이다. 현재 중국에서 살고 있는 탈북여성 100명을 현지에서 면접했다. 그녀들이 살고 있는 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그녀들의 생활 실태와 일상을 담아냈다. 그녀들은 그곳에서 체류하는 것 이 아니라 거주하고 있다. 중국에서 거주한다는 의미는 탈북 후 ..

류연미, 손명아 (2018) 「동포사랑」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시민성 실천과 에토스

류연미 and 손명아. (2018). 「동포사랑」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시민성 실천과 에토스. 사회과학연구, 44(3), 247-270.Ryu, Yeun Mee and Son, Myung Ah. (2018). Citizenship practice and etho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dongposarang, Journal of Social Science, 44(3), 247-270. 1. 들어가며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에게 요구되는 시민성의 양상을 실천과 에토스의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은 법률상 정치적 소속(political belonging)으로는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경험이나 지 식의 부재로 인해 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