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Thoery 125

존엄사와 안락사는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 -칸트의 안락사 비판론과 쇼펜하우어의 칸트 윤리 비판을 중심으로-

2014-1 철학의 문제들 기말고사 존엄사와 안락사는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 -칸트의 안락사 비판론과 쇼펜하우어의 칸트 윤리 비판을 중심으로-  1997년 12월 4일, 보호자 없이 보라매병원 중환자실로 후송된 한 환자는 성공적으로 끝난 수술에도 불구하고 뇌부증으로 인해 호흡에 문제가 있는 상태였다. 다음 날 환자의 보호자가 '자신의 동의 없이 수술했으며 경제적 여유가 없음'을 들어 환자를 퇴원시키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병원 측 에서는 퇴원 했을 때 환자의 목숨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환자의 죽음에 대해 병원은 책임지지 않는다는 각서를 받은 후 환자를 퇴원시켰다. 환자는 퇴원 후 산소 호흡기를 뗀 뒤 5분 만에 사망했다. 그러나 병원이 받은 각서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보호자는 부작위에 의..

Value Thoery/Ethcis 2023.12.06

현재의 즐거움과 미래를 위한 투자 중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하는가?

2018-2 응용윤리학 현재의 즐거움과 미래를 위한 투자 중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하는가? 1 “현재의 즐거움과 미래를 위한 투자 중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하는가?” 다음의 질문은 철학적 질문인가?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은 철학적 질문이 우리에게 정신적 경련을 일으킨다고 표현한다. 즉 우리는 “~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언제나 그것이 지칭하는 무언가를 가리켜야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에 아득해짐을 느끼곤 한다. “존재란 무엇인가?”, “선(善)이란 무엇인가?”, “정의(正義)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은 소크라테스(Socrates)의 주장에 따르면, 그 질문이 가리키는 어떤 특정한 사례의 특징, 혹은 사..

Value Thoery/Ethcis 201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