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103

중세철학 정리 (3) 아우구스티누스: 플로티노스의 철학

2018-2 서양고중세철학 플로티노스의 철학신플라톤주의는 고대 후기의 지배적인 사상이다. 기원 후 3세기의 마지막 10년대부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신플라톤주의자들에 의해 전승되었으며, 2세기의 호교론자(Apologeten)들로부터, 12세기 중반 이후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철학과 신학은 중기 플라톤주의와 신플라톤주의의 압도적인 영향을 받았다.플로티노스의 철학, 특히 일자, 정신(nous), 영혼에 대한 그의 세 가지 근본 실체(Hypostasen) 이론은 기원 후 1세기에 시작된 중기 플라톤주의를 통해 준비되었으며, 중기 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의 후기 사상과, 구 아카데미아의 원리론(Prinzipienlehre), 그리고 “티마이오스”의 창조 신화를 이어받은 것이었다.2-1) 중기..

중세철학 정리 (2) 중세 철학 사상가 및 기독교 관련 인물들

2018-2 서양고중세철학 예수 그리스도(Iesüs Christus) (B.C.4-29)베드로(Petrus/Πέτρος) (1-66)사도 바울(Παυλος) (5? -64,68)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보에티우스(Boethius) (485-526)위-디오니시우스(Psendo-Dionysius Areopagita) (6c)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Anselm Cantabury) (1033-1109)페테르 아벨라르(Petrus Abaelardus) (1079-1142) 알베르트 마그누스(Albertus Magnus) (1206-1280)토마스 아퀴나스(Aqunos) (von Aquin) (1225-1274)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마이스터 에..

중세 철학 정리 (1) 초기 교부들의 사도 바울 수용에 대하여- De vera religione(신실한 종교)

2018-2 서양고중세철학 1. 중세 철학의 성립 가능성고전1:18 십자가의 말씀(Logos/Verbum) or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9 기록된바 ㄱ)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 하였으니고전1:20 지혜 있는 자가 어디 있느냐 선비가 어디 있느냐 이 세대에 변론가가 어디 있느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지혜를 미련하게 하신 것이 아니냐고린도전서 1장 18절-20절 초기 교부들의 사도 바울 수용에 대하여- De vera religione 신실한 종교초기 교부들에 있어 그들의 일차적인 목표는 기독교의 말씀을 세상의 어두움으로부터 지켜내는 일이었다. 이는 다시 말해 기독교 교리와 세속 철학 사이의 위계질서를..

"철학의 문제들에 관한 칸트적 해결책"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2절 “철학의 문제들에 관한 칸트적 해결책”  많은 이들은 비트겐슈타인이 기존의 철학사에 무지했을 뿐만 아니라 철학사를 배우는 것 자체를 무가치하게 여겼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비트겐슈타인이 언제나 강단 철학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나름의 정당성을..

Continental/Kant 2024.11.08

칸트와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네 가지 유사성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2절 칸트와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네 가지 유사성  그러나 이제 『논고』에서 제시되고 있는 형이상학적 진리들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비트겐슈타인은 어떤 이성적 논증을 사용하여 그러한 진리들의 존재를 도출했는가? 우리가 『논고』를 통해 전달된 ..

Continental/Kant 2024.11.08

Frege's Context Principle 4 (from the Chapter 9 of Hacker & Baker 2005)

Baker, Gordon P. & Hacker, P. M. S. (2005). Wittgenstein: Understanding and Meaning: Volume 1 of an Analytical Commentary o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Part I: Essays. Malden, MA: Wiley-Blackwell. Edited by P. M. S. Hacker, pp. 159-170, 173-175. Chapter 9. Contextual dicta and contextual principles 1. The problems of a principleThe dictum ‘A word has a meaning only in the context of a sen..

Frege's Context Principle 3

Frege, G. (1960).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A Logico-Mathematical Enquiry into the Concept of Number. translated by J. L. Austin. New York: Harper Torchbooks;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 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 herausgegeben von C. Triel. Hamburg: Felix Meiner, 1988; 「산수의 기초」, 박준용, 최원배 옮김, 아카넷, 2004.   § 60. Es ist also die Unvorstellbarkeit des Inh..

Frege's Context Principle 2

Frege, G. (1960).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A Logico-Mathematical Enquiry into the Concept of Number. translated by J. L. Austin. New York: Harper Torchbooks;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 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 herausgegeben von C. Triel. Hamburg: Felix Meiner, 1988; 「산수의 기초」, 박준용, 최원배 옮김, 아카넷, 2004.  § 46. Um Licht in die Sache zu bringen, wird es ..

Frege's Context Principle 1

Frege, G. (1960).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A Logico-Mathematical Enquiry into the Concept of Number. translated by J. L. Austin. New York: Harper Torchbooks;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 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 herausgegeben von C. Triel. Hamburg: Felix Meiner, 1988; 「산수의 기초」, 박준용, 최원배 옮김, 아카넷, 2004.  “never to ask for the meaning of a word in iso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