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103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사상과 논리의 본성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2장 제3절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사상과 논리의 본성 잘 알려져 있듯이, 러셀은 그의 분석의 핵심 도구로 삼았던 논리의 지위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처럼, 논리 상항(logical constant)의 본성과 그것의 인식론적 ..

Logic/Phil of Logic 2024.11.08

『논리-철학 논고』의 실증주의적 해석과 “형이상학의 극복”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1장 제2절 실증주의적 해석과 “형이상학의 극복” 『논고』의 실증주의적 해석은 분석철학사에 남긴 영향과 별개로 오늘날에는 이론적 설득력을 상실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카르납과 에이어는 모두 그들이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오해했다고 고백한다. 특히, 이들이 공통으로..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말할 수 없는 것의 형이상학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1절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말할 수 없는 것의 형이상학이제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개념이 (1) 심리주의의 견해와 (2) 러셀의 견해를 넘어 (3) 사변적 형이상학에 조응하는 지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는 물론 비트겐슈타인이 모든 종류의 사변적 형이상학과 그 방법론..

중세철학 정리 (6) 보에티우스(Boethius)- 라틴 최초의 스콜라 철학자

2018-2 서양고중세철학 보에티우스(Boethius)- 라틴 최초의 스콜라 철학자  1) 스콜라 철학의 특징1. 이론적, 사변적 철학1) 자연학 – rationabiliter 합리2) 수학 – disciplinaliter 체계3) 신학- intellectualiter 지성, 직관산수, 음악, 기하학, 천문학 : 4학(Quadriuium)2. 실천적, 활동적 철학1) 개인윤리2) 정치윤리3) 가정윤리반면 Techne, 기예를 다루는 학문은 artes mechanicae(servilles), 노예의 학문으로 불렸다. 이는 효용성, 기능성, 유용성을 추구하는 학문들에 국한되었다. 또한 실제적인 학문으로 신학, 법학, 의학 등이 있었으며, 중세기 학제에는 위에서 언급한 산수, 음악, 기하학, 천문학을 4학(Q..

중세철학 정리 (5) 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와 시간의 문제

2018-2 서양고중세 철학 아우구스티누스 (3) - 삼위일체와 시간의 문제 1)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로마 쇠락기에 이교도 아버지와 기독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부터 웅변교육을 받았으며 라틴어로 글을 썼다. 그의 제일 널리 알려진 저작인 “고백록(Coffessiones)”은 397년에서 401년에 쓰였는데, 이 글에서 그는 388년, 34살의 나이에 그의 아이가 일찍 죽었다고 기술하고 있어, 그가 18살에서 19살 때 혼외정사로 아이를 낳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암브로시우스(Ambrosius)를 통해 읽은 “파이돈”으로 플라톤을 접했으며, 386년에 쓴 저작인 “De beate Vita”에서는 신플라톤주의에 경도된 모습을 보인다. 그는 늦은..

중세철학 정리 (4) 아우구스티누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의 철학과 삼위일체 논쟁

2018-2 서양고중세철학 아우구스티누스(2) - 마리우스 빅토리누스의 철학과 삼위일체 논쟁“플라톤주의자들의 교리에 젖어 있던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들의 가르침에서 신앙과 일치하는 무엇을 발견했던 때는 언제든지 그 가르침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는 신앙에 반대되는 것이라고 발견했던 것은 수정했다.” - 토마스 아퀴나스모든 역사가들은 아우구스티누스주의 교리의 전문적 형성은 신플라톤주의의 두드러진 영향을 드러낸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 그리스도교 철학의 성립에 있어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은 아우구스티누스 이전에 마리우스 빅토리누스(Marius Victorinus)에서 나타난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는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Enneades)”를 포함하여 신플라톤주의의 기록들을 번역하였으므로, 그리스도인이면서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