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103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이미지 재현 연구

김수경. (2018). 결혼시장에서 북한이탈여성의이미지 재현 연구. 여성연구, 97(2), 232-259. Sookyung Kim (2018).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mage in the South Korean Marriage Market. The Women’s Studies. 97(2), 232-259.   Ⅰ. 들어가며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탈북은 매우 희귀한 현상이었다. 1983년 북한 군 이웅평 상위(대위)가 미그(MIG)기를 몰고 남하했을 때 ‘귀순용사’(歸順勇 士)로 추앙받으며 보상금 및 정착금의 명목으로 13억 원이라는 엄청난 액수의 금전적 지원을 받았다. 이는 당시 남한 노동자 평균 연봉의 480배에 달하는 액수였다...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5(2), 173-205.Hong, Seungah. (2013).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Their Settlement Tasks: From the Family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5(2), 173-205.  I. 서론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응 문제는 탈북 과정에서부터 정착생활까지 남성과는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문제로 접근되어야 한다. 우선 이들은 정착의 과정에서도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로 인하 여 곤란을 겪고 있으며, 남한사회와 다른 북한사회의 부부관계를 유..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심양섭. (2016). 탈북여성의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 연구: 이주민 편입양태 이론과 관련하여. 북한학보, 41(2), 61-107.Shim, Yangsup (2016). The Deterrent Factors for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A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Modes of Incorporation of Immigrants, Journal of North Korean Studies, 41(2), 61-107. 1. 서론: 많은 숫자, 낮은 취업률 한국에 입국하여 살고 있는 탈북이주민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은 반면에 탈북여성의 취업률은 탈북남성의 취업률에 비해 ..

강동완 (2017) 중국 현지 거주 탈북여성의 생활 실태 및 지원 방안

강동완. (2017). 중국 현지 거주 탈북여성의 생활 실태 및 지원 방안. 북한학보, 42(1), 155-197.Kang, Dong Wan (2017). Actual Life of and Support Plans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China,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42(1), 155-197.1. 서론이 글은 중국 거주(체류) 탈북여성들의 현지 생활실태를 다룬 글이다. 현재 중국에서 살고 있는 탈북여성 100명을 현지에서 면접했다. 그녀들이 살고 있는 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그녀들의 생활 실태와 일상을 담아냈다. 그녀들은 그곳에서 체류하는 것 이 아니라 거주하고 있다. 중국에서 거주한다는 의미는 탈북 후 ..

류연미, 손명아 (2018) 「동포사랑」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시민성 실천과 에토스

류연미 and 손명아. (2018). 「동포사랑」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시민성 실천과 에토스. 사회과학연구, 44(3), 247-270.Ryu, Yeun Mee and Son, Myung Ah. (2018). Citizenship practice and etho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dongposarang, Journal of Social Science, 44(3), 247-270. 1. 들어가며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에게 요구되는 시민성의 양상을 실천과 에토스의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은 법률상 정치적 소속(political belonging)으로는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경험이나 지 식의 부재로 인해 남한..

이희영 (2013)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이희영. (2013).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북한연구학회보, 17(1), 355-393.Yi, Hee Young. (2013). (Post)Division and Actor-Network of International Migration-Case Study on the Life and Human Rights of ‘Traveling’ North Korean Refugees- North Korean Studies Review, 17(1), 355-393. 1. 서론이 글은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상식에 대해 질문하면서 시작되었다. ‘탈북자’ 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은 탈북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인권침해의 사실’과 한국 사회..

배영애 (2010) 제3장 1990년대 북한의 경제난 이후 여성의 역할과 의식 변화

배영애. (2010). 제3장 1990년대 북한의 경제난 이후 여성의 역할과 의식 변화. 통일전략, 10(2), 93-188.Bae,Young-Ae, A Study on the Change Women's Roles and Values after North Korea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Unification Stratrgy, 10(2), 93-188. 1. 서론북한 당국은 여성이 노동에 참여시킴으로써 명시적으로 남녀평 등이 실현되었다고 주장하지만,실제로는 가정에서의 역할을 더 강조함으로써 여성에 가정과 사회에서의 이중노동의 부담을 가중 시키고 있다. 실제로 북한은 사회전반에 걸쳐 가부장적 가치관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그리고 이러한 북한 여성의 가치관은 북한 의 폐..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ʻ감각ʼ되는 ʻ장소ʼ와 북한이탈여성의 ʻ젠더ʼ화된 장소 감각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ʻ감각ʼ되는 ʻ장소ʼ와 북한이탈여성의 ʻ젠더ʼ화된 장소 감각. 한국사회학, 47(1), 221-253.Sung Kyung Kim (2013). North Koreansʼ Border Crossing and North Korea-China Borderland: ʻSensed Placeʼ and the ʻGenderedʼ Sense of Plac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7(1), 221-253. 1. 문제의식 북한에 대한 이해부족 + 탈북자의 극한의 상황 = 북한 주민 및 탈북민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초래함대다수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북한주민의 월경을 경제적 혹은 정치적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강압된 이주..

이미경 (2004)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의 삶과 의식의 변화

이미경. (2004).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의 삶과 의식의 변화: 탈북 여성과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47(2), 183-212.Mi-Kyung, Lee (2004). The Limited Change of North Korea Women's Life & Consciousness in the Situation of Economic Difficulties,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47(2), 183-212.1. 북한여성의 역할 변화① 경제난 이전의 북한 여성:국가발전전략: "사회 한쪽의 수레바퀴를 떠밀고 나가는 역군,"양성평등의 원칙과 여성해방의 명분 아래 정권 차원에서 사회경제활동을 장려함.북한체제에서 여성들의 사회경제활동 참여는 거의 필수사항 [184]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