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physics and Epistemology 54

Sosa (1964) The Analysis of ‘Knowledge that P’

Sosa, Ernest, “The Analysis of ‘Knowledge that P’”, in : Analysis. vol. 25. 1964. pp. 1-8. 에드먼드 게티어의 해석에서, 앎의 개념에 관한 에이어와 치솜의 분석은 아래에 제시된 분석 A와 충분히 유사하며 같은 것이라 말할 수 있다.분석 A: S가 P에 대한 앎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IFF(i) P가 참이고,(ii) S가 P를 믿으며,(iii) P에 대한 S의 믿음은 정당화되었다. 게티어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두 가지 반례를 제시한다. 나는 이제 이러한 반례들 중 두번째 사례의 원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려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첫 번째 사례보다 단순하며 A에 대한 반례로서의 첫 번째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S가 P에 ..

Clark (1963)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Clark, M. (1963).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Analysis, 24(2), 46–48. https://doi.org/10.2307/3327068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Michael Clark;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Analysis, Volume 24, Issue 2, 1 December 1963, Pages 46–48, https://doi.org/10.1093/analacademic.oup.com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앎인가?"라는 그의 논문에서, 게티어 씨..

Meyers and Stern (1973) Knowledge Without Paradox

Robert Meyers and Kenneth Stern, “Knowledge Without Paradox”, in : The Journal of Philosophy. vol. 70(1973), pp.  147-160 게티어 유형의 반례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원칙에 근거한다 : 설령 p가 거짓이라 할지라도, 어떤 사람이 특정 명제 h를 증거 p를 토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만약 h가 참이라면, 그는 h라는 정당화된 참인 믿음을 갖게 될 것이며, 그러면서도 여전히 h를 알지는 못할텐데, 그 이유는, 말하자면, 그가 h를 받아들이는 것이 오직 우연적(accidental)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존스가 들판 위에 있는 여우를 개로 착각하였으며, 그러나 이 특정한 여우는 존스에게 있어..

인식론 중간고사

2015-1 인식론 중간고사 3. 예2)가 (k2)에 대한 반례인지 여부를 설명하시오 문제 예 2) 철이는 자취방에서 라디오를 켜지 않은 상태로 혼자 중간고사 공부를 하고 있다. 현재 철이는 라디오가 꺼져 있음을 직접 확인하고 다음의 명제를 믿고 있다. (b) 지금 내 방에는 라디오가 꺼져 있다. 철이는 지금 sns를 사용할 기기나 컴퓨터 혹은 전화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찾아올 사람도 없다. 한편 그 시각에 kbs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2NE1의 라는 노래가 방송되고 있었다. 물론 철이는 라디오를 켜고 있지 않기에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다. (k2) S가 P를 안다는 것의 필요충분조건은 1)P가 참이고 2)S가 P를 믿으며 3) S가 P를 믿는 것에 인식적 정당성을 가지고 4)P에 대한 S의 믿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