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은. (2023).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여성문학연구, 60, 297-328.Lee, Jieun. (2023). The ‘Americanization’ devices of th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ext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60, 297-328. 1. 탈북 의제의 국제화와 여성탈북기가 놓인 자리2010년대 중반부터 탈북자의 ‘수기(memoir)’ 형태를 띤 텍스트가 영어권에서 본격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고, 이들은 빠르게 세계 주요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탈북기’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북한이탈주민의 문제가 더 이상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는 의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적 전향을 의미하 는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