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2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5(1), 155-173.Kim, Hee Kyung (2010). The relations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1), 155-173.자아방어기제(ego defense mechanism)는 정신역동적 입장에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주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불안이나 공격성 같은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 내적 갈등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이러한 욕구나 본능, 희망, 충동과 외부 현실 사이에서 생길 수..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 병리가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최빛내 and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Choi, Bit-nae and Kim, Hee Kyung. (2011).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ersonality Patholog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Psychological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1), 195-21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표적인 외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강제 북송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고자 하였다. 이..

최재헌, 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최재헌, 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1), 167-184.Jae-Heon Choi, & Sook-jin Kim (2016). Geograph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ern China - Its Migration and Spatial Diffusi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1), 167-184.  1. 서론중국 내에서도 조선족의 위상에 대해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① 먼저 조선족은 디아스포라가 아니며 100% 조선족일 뿐으로 한반도와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초국적 이주민(tran..

성정현 (2014)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정현. (2014).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5), 117-131.Jung-Hyun Sung. (2014). North-Korean-Refugee Women'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and Reemergence of Trauma Exper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 117-131. Ⅱ. 선행 연구그 실태를 보면, 2001년도에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조사한 홍창영(2004)의 연구 결과, partial PTSD가 31.8%..

이희영 (2012) 탈북-결혼이주-이주노동의 교차적 경험과 정체성의 변위: 북한 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영 (2012). 탈북-결혼이주-이주노동의 교차적 경험과 정체성의 변위 : 북한 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2(1), 1-45.Hee-Young Yi (2012). Intersectional Experiences of Border Crossing - Marriage Migration-Migrant Work and the Transposition of Identit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North Korean Woman’s Life Histories. Contemparary Society and Multiculture, 2(1), 1-45. 1. 매매혼의 경험과 가난하고 불쌍한 한족 남자들“그저 무작정하고 강을 건너서 갔으니까 그 어떤 집이라..

김성경 (2017)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김성경. (2017).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문화와 사회, 23, 265-309.Kim, Sung Kyung (2017). Mobile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Distant Motherhood: Reconstruction of Intimacy and Possibility of the Sense of Shame.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JCS), 23, 265-309. Ⅰ. 들어가며북한 체제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 쉽게 국경을 넘어 이동할 수 있었던 이유는 국가주도 산업의 일자리에 남성을 우선적으로 배치한 북한의 가부장적 정치경제 구조 때문이다. 식량난이라는 국가 위기 상황..

김성경 (2022) 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

김성경. (2022). 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 한국여성학, 38(2), 1-32.Kim, Sung Kyung. (2022). Global Popular Culture and Stories of Survivors : Colonial Gaze and Gendered Narrative in Memoirs of North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38(2), 1-32. Ⅰ. 들어가며서구 출판 시장에서 탈북민의 수기는 한동안 커다란 인기를 누렸다. 북한에 대한 호기심과 비례해 그곳을 떠나온 탈북민의 증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북한 체제의 인권 유린 및 열악한 상황을 ‘..

연성진 (2018) 북한이탈주민 탈북과정에서의 인신매매 범죄 피해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성진, 「북한이탈주민 탈북과정에서의 인신매매 범죄 피해 실태 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8.Yeon, Seong-jin (2018). An Exploratory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Human Trafficking Victimization en route to South Korea.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1) 이론적 배경2000년 UN은 국제조직범죄위원회에서 인신매매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인신매매는 착취를 목적으로 위협이나 무력의 행사 또는 다른 형태의 강압, 납치, 사기, 기만, 직권남용 또는 피해자의 취약한 지위를 이용하거나, 타인에 대한 통제력을 가진 사람의 동의..

권금상 (2021) 이주과정으로 (재)구성된 탈북여성 가족의 현재성

권금상. (2021). 이주과정으로 (재)구성된 탈북여성 가족의 현재성. 통일인문학, 86, 293-324.Kwon, Keum sang (2021). The Presentity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Re)Constructed through the Migration Process.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86, 293-324. 1. 들어가며북한과 맞닿은 중국으로 불법 입국한 탈 북여성의 탈북과정에서 75%가 인신매매를 당한다고 보고된다.5) 남 성권력이 중심이 되는 북중접경의 공간은 젠더의 문제를 양산하게 되는 것이다. 탈북과정에서 성이 착취되고 한국에 오기까지 탈북여 성들에게 이주공간은 ..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Hee Kyung Kim and Soo-Sung Oh (2010). The MMPI-2 Profile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1), 1-20.젊은 여성의 입국 비율이 높은 원인으로는 제3국에서의 은 닉이 남성에 비해 쉽고, 취업할 수 있는 기회 그림1. 하나원 입소성별현황 그림2. 하나원 입소연령별현황 가 많은 점, 중국 내에 젊은 여성에 대한 수 요가 존재한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김태 현, 노치영, 2003). [2]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입국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정신건강이나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