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이정순 옮김, 을유문화사, 2022. 4. 인류의 역사 초기 단계에 나타난 여성의 타자화 하지만 생산과 재생산은 영아살해, 제물, 전쟁을 통해 언제나 성공적인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집단의 존속이란 관점에서 남자와 여자는 똑같이 필요하다. 식량이 풍부했던 시대에는 아이의 보호자이며 양육자라는 여자의 역할이 남자를 어머니인 여자에게 종속시켰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모성에서 완전한 자주성을 끌어내는 동물의 암컷들이 있다. 여자는 왜 모성을 받침대로 삼는 데 성공하지 못했을까? 노동력의 수요가 개발해야 할 원료의 수요보다 상회했기 때문에 인류가 가장 맹렬하게 출산을 요구하던 시대에서조차, 그리고 모성이 가장 숭앙받던 시대에서조차 인류는 첫 번째 자리를 여자에게 허락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