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ental 151

중세철학 정리 (4) 아우구스티누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의 철학과 삼위일체 논쟁

2018-2 서양고중세철학 아우구스티누스(2) - 마리우스 빅토리누스의 철학과 삼위일체 논쟁“플라톤주의자들의 교리에 젖어 있던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들의 가르침에서 신앙과 일치하는 무엇을 발견했던 때는 언제든지 그 가르침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는 신앙에 반대되는 것이라고 발견했던 것은 수정했다.” - 토마스 아퀴나스모든 역사가들은 아우구스티누스주의 교리의 전문적 형성은 신플라톤주의의 두드러진 영향을 드러낸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 그리스도교 철학의 성립에 있어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은 아우구스티누스 이전에 마리우스 빅토리누스(Marius Victorinus)에서 나타난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는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Enneades)”를 포함하여 신플라톤주의의 기록들을 번역하였으므로, 그리스도인이면서 또한..

중세철학 정리 (3) 아우구스티누스: 플로티노스의 철학

2018-2 서양고중세철학 플로티노스의 철학신플라톤주의는 고대 후기의 지배적인 사상이다. 기원 후 3세기의 마지막 10년대부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신플라톤주의자들에 의해 전승되었으며, 2세기의 호교론자(Apologeten)들로부터, 12세기 중반 이후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철학과 신학은 중기 플라톤주의와 신플라톤주의의 압도적인 영향을 받았다.플로티노스의 철학, 특히 일자, 정신(nous), 영혼에 대한 그의 세 가지 근본 실체(Hypostasen) 이론은 기원 후 1세기에 시작된 중기 플라톤주의를 통해 준비되었으며, 중기 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의 후기 사상과, 구 아카데미아의 원리론(Prinzipienlehre), 그리고 “티마이오스”의 창조 신화를 이어받은 것이었다.2-1) 중기..

중세철학 정리 (2) 중세 철학 사상가 및 기독교 관련 인물들

2018-2 서양고중세철학 예수 그리스도(Iesüs Christus) (B.C.4-29)베드로(Petrus/Πέτρος) (1-66)사도 바울(Παυλος) (5? -64,68)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보에티우스(Boethius) (485-526)위-디오니시우스(Psendo-Dionysius Areopagita) (6c)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Anselm Cantabury) (1033-1109)페테르 아벨라르(Petrus Abaelardus) (1079-1142) 알베르트 마그누스(Albertus Magnus) (1206-1280)토마스 아퀴나스(Aqunos) (von Aquin) (1225-1274)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마이스터 에..

중세 철학 정리 (1) 초기 교부들의 사도 바울 수용에 대하여- De vera religione(신실한 종교)

2018-2 서양고중세철학 1. 중세 철학의 성립 가능성고전1:18 십자가의 말씀(Logos/Verbum) or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9 기록된바 ㄱ)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 하였으니고전1:20 지혜 있는 자가 어디 있느냐 선비가 어디 있느냐 이 세대에 변론가가 어디 있느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지혜를 미련하게 하신 것이 아니냐고린도전서 1장 18절-20절 초기 교부들의 사도 바울 수용에 대하여- De vera religione 신실한 종교초기 교부들에 있어 그들의 일차적인 목표는 기독교의 말씀을 세상의 어두움으로부터 지켜내는 일이었다. 이는 다시 말해 기독교 교리와 세속 철학 사이의 위계질서를..

"철학의 문제들에 관한 칸트적 해결책"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2절 “철학의 문제들에 관한 칸트적 해결책”  많은 이들은 비트겐슈타인이 기존의 철학사에 무지했을 뿐만 아니라 철학사를 배우는 것 자체를 무가치하게 여겼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비트겐슈타인이 언제나 강단 철학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나름의 정당성을..

Continental/Kant 2024.11.08

칸트와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네 가지 유사성

2023.12.21 - [Research/Publications]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김현균.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내재적 비판철학 : 스테니우스의 칸트적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georgia15.tistory.com 2022 석사논문 제3장 제2절 칸트와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네 가지 유사성  그러나 이제 『논고』에서 제시되고 있는 형이상학적 진리들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비트겐슈타인은 어떤 이성적 논증을 사용하여 그러한 진리들의 존재를 도출했는가? 우리가 『논고』를 통해 전달된 ..

Continental/Kant 2024.11.08

이남인 (2004) 현상학과 해석학 (2)

이남인 (2004).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 후썰과 현상학의 이념 1.4 형식적 존재론과 영역적 존재론 경험과학의 조건① 대상에 대한 경험: 우리는 철학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현상을 경험하면서 그러한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 화학, 생물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인류학, 역사학 등 다양한 유형의 과학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 대상에 대한 경험은 이러한 여러가지 과학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말하자면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과학은 모두 나름대로의 고유한 경험에 기초해 있는 것이며, 바로 이처럼 이러한 과학들이 대상에 대한 나름의 경험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은 모두 경험과학이라고 ..

Canguilhem, G. (1991).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3)

Canguilhem, G. (1991).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translated by Carolyn R. Fawcett, New York: Zone Books.캉길렘 (2018).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여인석 옮김. 그린비. 1부 병리적 상태는 정상 상태의 양적인 변화에 불과한가? 2. 오귀스트 콩트와 "브루세의 원리" (Auguste Comte and "Broussais's Principle") Auguste Comte asserted the real identity of pathological phenomena and the corresponding physiological phenomena at three principal stages of his ..

Canguilhem, G. (1991).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2)

Canguilhem, G. (1991).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translated by Carolyn R. Fawcett, New York: Zone Books.캉길렘 (2018).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여인석 옮김. 그린비. 1부 병리적 상태는 정상 상태의 양적인 변화에 불과한가?1. 문제의 도입 무언가에 작용을 가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를 국한시켜 위치를 알아내야 한다. 어떻게 지진이나 태풍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는가? [49]행동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그 범위를 국한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떻게 지진이나 허리케인에 맞서 행동을 취할 수 있겠는가?To act, it is necessary at least to localize. For example, h..

Gutting (1989) Michel Foucault's Archaeology of Scientific Reason (1)

Gutting, G. (1989) Michel Foucault’s Archaeology of Scientific Rea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PrefaceFοr those already familiar with Foucault, it offers a new perspective that places his thought in the context of recent French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articularly the work of Gaston Bachelard and Georges Canguilhem. (It also prcvides an introduction to these two thin..